|
CJ대한통운이 중동 해외직구 시장 진출을 선언하며 글로벌 영토 확장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지난 10일 사우디에서 '글로벌권역물류센터(GDC)'를 구축한 데 이어 다음 날에는 강신호 대표가 두바이에 위치한 현지법인 CJ ICM을 방문해 경영현안을 점검하는 등 중동 물류시장에서 속도감 있는 행보를 보이고 있다.
중동 진출 첫 발은 "이커머스 시장 선점"
CJ대한통운이 사우디를 주목하는 가장 큰 이유는 중동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성이다. 외상거래를 금지하는 이슬람 율법 때문에 중동은 신용카드 사용률이 낮고 전자상거래 시장도 성장이 어려웠다. 그러나 사우디와 UAE를 중심으로 신용카드가 보편화되고 인터넷·모바일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전자상거래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글로벌 시장조사기관 리서치앤마켓에 따르면 중동의 이커머스 시장은 2022년부터 2027년까지 매년 약 11.5% 이상 성장하고 사우디가 이 중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전망이다.
CJ대한통운은 내년 하반기 본격 가동 예정인 사우디 GDC가 중동시장 공략의 첨병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CJ대한통운 관계자는 "사우디에 첫 전자상거래 전용 물류센터를 구축하며 시장 선점 발판을 마련했다"고 평가했다.
CJ대한통운은 사우디 GDC 구축에 앞서 고객사인 아이허브와의 8년 장기계약을 체결하면서 안정적으로 현지 사업을 확대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했다. 사우디는 미리에 창 아이허브 COO(최고운영책임자)가 '아이허브의 톱5 시장'이라고 언급할 만큼 규모가 크다.
현지 내수시장으로 상품 반입이 가능하다는 점도 큰 장점이다. GDC에 보관된 상품을 국내로 반입할 수 없는 한국과는 달리 규제로 인한 제약 요인이 없어 시장 공략이 용이하다. 사우디 소비자들은 자국 내에 위치한 GDC에서 상품을 바로 받아볼 수 있고 기존 해외직구의 가장 큰 단점인 교환·반품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
'글로벌 물류허브' 구축하려는 사우디… 한국 기업에도 '기회의 땅'
사우디는 초대형 신도시 프로젝트 '네옴시티'를 비롯해 다양한 경제개발사업과 인프라 투자를 추진하고 있어 새로운 사업기회 발굴을 통한 제 2의 중동 특수가 기대되는 시장이다.사우디는 중동·유럽·아프리카의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세계 해운 물동량의 12%를 담당하는 수에즈 운하가 인접해 있다. 물류와 사람이 모일 수밖에 없는 요충지다. 사우디 정부는 석유 중심 산업구조 탈피를 위해 내세운 '비전 2030'의 7대 사업 중 하나로 국제무역과 교통 허브 국가를 건설하고 물류성과지수를 세계 25위 수준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이를 위해 리야드 공항 일대에 300만㎡ 규모의 통합물류특구(SILZ)를 조성했다. 현재 애플이 이곳을 거점으로 삼고 물류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CJ대한통운의 GDC도 내년 하반기에 들어설 예정이다.
또한 빈 살만 왕세자의 방한 이후 한국과 활발한 경제협력을 추진중인 데다 뷰티·패션·전자제품 등 한국 상품에 대한 관심도 매우 높다. 국적 물류기업이 있다면 진출 초기 리스크 최소화에도 용이해 향후 한국 제조·유통기업의 사우디 진출도 한층 활발해질 가능성이 높다.
현지법인 CJ ICM도 중동사업 확대 한 축
|
CJ대한통운은 사우디 GDC와 함께 중동 현지법인 CJ ICM사업 확장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CJ ICM은 2017년 중동 중량물 물류 1위 기업인 이브라콤 지분 51%를 인수해 설립한 합작법인이다. 중동·유럽·CIS(구소련 독립국가연합) 등 3개 대륙에 걸쳐 19개국 네트워크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를 연결하는 중량물 프로젝트 물류가 강점이다.
지난해 매출액은 3730억원을 기록했으며 오는 2025년까지 매출액 5000억원, 영업이익 180억원을 달성한다는 목표다. 현재 주력사업인 중량물 물류 외에도 유럽에서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 배터리, 자동차부품, 방산 등 특수화물 운송 상품을 개발하는 등 수익처 다변화에 집중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