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에 또 다시 요소수 대란 조짐이 일자 정부가 대응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9월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 '요소수 품절' 안내문이 게시됐던 모습. /사진=뉴시스
전국에 또 다시 요소수 대란 조짐이 일자 정부가 대응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9월 서울시내 한 주유소에 '요소수 품절' 안내문이 게시됐던 모습. /사진=뉴시스

또 다시 '요소수 대란'이 발생할 것으로 우려된다. 최근 중국 세관이 한국으로의 요소 수출 통관을 돌연 보류해서다.

요소수 대란 재발 우려가 나오자 정부는 업계 합동 요소 공급망 대응에 착수했다. 정부는 베트남 등 대체 수입처를 통한 요소 확보방안을 논의하는 동시에 중국 정부와의 협의에 신속히 나설 계획이다.


5일 정부에 따르면 전날 이승렬 산업통상자원부 산업정책실장 주재로 '정부-업계 합동 요소 공급망 대응회의'를 개최했다.

최근 중국은 한국에 대한 차량용 요소 수출 통관을 돌연 보류해 '요소수 대란' 사태가 또 다시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가득하다.

앞서 지난 2021년 하반기 중국은 호주와의 무역분쟁 당시 요소 수출을 제한했고 국내에서는 요소수 품귀현상이 일어난 바 있다.


이 같은 대란 재발 조짐이 보이자 국무조정실, 기획재정부, 외교부, 환경부, 관세청, 조달청 등 관계부처와 롯데정밀화학, 금성이엔씨 등 차량용 요소 수입·유통업체 7개사, 소부장 공급망센터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 회의가 진행됐다.

정부는 이번 회의에서 차량용 요소 재고 현황, 국내 기업의 중국 통관 애로사항을 면밀히 점검했다. 베트남 등 대체 수입처를 통한 요소 확보방안을 논의하고 정부와 업계가 함께 차량용 요소의 수급 안정화를 위해 신속하게 대응해 나가기로 했다.

정부는 공공비축(조달청)을 확대하고 업계는 대체 수입국가와 추가 물량을 확보해 나갈 방침이다.

현재 국내 재고 및 중국 외 국가로부터 도입 예정물량이 약 3개월분 확보돼 있다. 동남아·중동 등으로 다변화를 적극 추진해 차량용 요소를 안정적으로 확보해 나가겠다는 게 정부 계획이다.

환경부는 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KOTRA)와 협력해 수입 대체품의 신속한 품질검사를 지원하고 관세청은 수입 요소에 대한 신속 통관을 지원하는 등 관련 조치를 시행한다.

이밖에 정부는 국내 차량용 요소수 시장 상황을 면밀히 점검해 요소수 생산·유통을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한편 필요시 시장 안정화를 위한 조치도 선제적으로 준비해 나갈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