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건설경기 침체로 지난해 전국에서 폐업한 건설업체는 2000여곳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17년 만의 최대치다.
7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폐업한 건설업체는 1948곳, 폐업률은 2.31%(전체 업체 8만4000개)로 나타났다.
이는 2006년 이후 가장 많은 폐업 업체 수를 기록한 것이다.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부실 우려에 시장이 경색되고 부동산 경기 불황으로 미분양 증가, 원자잿값 인상에 따른 공사비 상승 등 여파로 풀이된다.
건설업체들의 경우 매출은 증가했지만 자재와 금융비용 부담 등이 커지면서 지난해 매출액 대비 당기 순이익률은 3.6%를 기록하며 재무 여건도 악화했다. 전년(4.9%)과 비교하면 1년 새 1.3%포인트(p) 줄어든 것이다.
수익성 악화로 채무상환이 어려운 한계기업도 지난해 18.7%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설업체 5곳 중 1곳은 한 해 거둬들인 이익으로 대출이자도 내기 힘든 것이다. 임금체불액은 1조7845억원을 기록해 전년(1조3472억원) 대비 32.5% 급증했다.
국토부는 고금리와 부동산경기 침체 등으로 올해 민간부문 회복이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국토부는 지난 6일 고용노동부, 금융위원회, 건설업계 유관단체들과 함께 건설회관에서 건설산업 활력 회복을 위한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박상우 국토부 장관은 "건설업계는 포트폴리오 다변화, 기술개발과 고부가가치 분야 해외진출 등을 위해 힘써주기를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