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결정 철회를 요구하며 진료 축소와 사직서 제출을 예정대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의과대학 교수가 연구동으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가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 결정 철회를 요구하며 진료 축소와 사직서 제출을 예정대로 할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소재 한 대학병원에서 의과대학 교수가 연구동으로 들어가고 있다. /사진=뉴시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전의교협)가 교수 사직서 제출과 진료 축소를 예정대로 진행한다. 정부에 의과대학 증원 결정을 철회하라고도 요구했다.

전의교협은 25일 입장문을 통해 이 같은 내용을 밝혔다. 이들은 전날 열린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 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입학정원·배정은 협의와 논의의 대상도 아니며 대화하지도 않았다"고도 말했다.


전의교협은 지난 24일 한동훈 비대위원장과의 간담회에서 의대 증원 정책에 대한 우려를 표했다. 이들은 "전공의에 대한 처벌은 의과대학 교수의 사직을 촉발할 것이며 우리나라 의료체계의 붕괴로 이어질 것"이라고 호소했다. 또 "의료진에 대한 고위공직자의 겁박은 사태를 더욱 악화시킬 것"이라며 정부의 책임 있는 조치를 요구했다.

전의교협은 25일 정부에 의대 증원 결정을 철회하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정부에 의한 입학정원과 정원 배정의 철회가 없는 한 이 위기는 해결될 수 없다"며 "정부의 철회 의사가 있다면 국민들 앞에서 모든 현안을 논의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또 진료 축소와 의대 교수 사직은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누적된 피로에 의해 어쩔 수 없이 선택할 수 밖에 없는 주52 시간 근무와 중환자·응급환자 진료를 위한 외래진료 축소는 금일부터 예정대로 진행될 것"이라고 말했다. 교수들의 자발적 사직에 대해서는 "(정부의) 일방적인 결정과 대학이 도저히 감당하기 어려운 정원 배분"으로 촉발됐다고 설명했다.


앞서 지난 24일 한 비대위원장과 전의교협의 대화 이후 윤석열 대통령은 현장 이탈 전공의에 대한 '유연한' 행정 처분을 지시했다.

현재 정부는 당과 전공의 행정처분을 다시 논의하겠다면서 의료계와 대화를 위한 실무 작업에 착수했다. 보건복지부는 "의료공백이 최소화하도록 의료현장을 이탈한 전공의의 행정처분에 대한 유연한 처리 방안을 당과 협의해 나가겠다"며 "국무조정실과 협의해 의료계와의 대화를 위한 실무 작업에 착수했으며 이른 시일 안에 대화가 시작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