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셀트리온이 처음으로 R&D(연구·개발) 행사를 열고 ADC(항체-약물 접합체) 등 신약 개발 전략을 소개했다. 바이오시밀러 기업에서 신약 개발 회사로 도약하기 위해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셀트리온은 최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 호텔에서 국내외 제약·바이오 담당 애널리스트를 대상으로 '셀트리온 사이언스&이노베이션 데이 2025'를 개최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셀트리온이 처음 마련한 것으로 회사의 신약 개발 성과, 관련 전략 및 비전을 투자업계 종사자들과 공유한다는 취지로 만들어졌다.
첫 행사의 주제는 ADC로 선정했다. ▲셀트리온 신약 개발 전략 ▲셀트리온 바이오베터 ADC 개발 전략 및 현황 ▲PBX-7016, 차세대 ADC 개발을 위한 새로운 캄토테신 페이로드(세포독성항암제) 등 총 6개의 개별 세션 발표와 연사 좌담 세션으로 구성해 회사의 관련 기술 방향성을 소개하고 구체적인 임상 로드맵을 제시했다.
첫 세션 발표를 맡은 권기성 셀트리온 연구개발부문장은 신약 개발 전략과 중장기 계획을 소개하며 회사가 신약 개발 기업으로 본격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난 20년 이상 회사가 축적해 온 항체 연구 및 생산 플랫폼을 기반으로 차세대 ADC 파이프라인을 본격적으로 확장하고 있으며 필요시 적극적인 오픈 이노베이션을 통해 유망한 기술력을 확보해 나가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수영 셀트리온 신약연구본부장은 ADC 개발 전략과 현황을 주제로 파이프라인별 경쟁 현황과 차별화 전략을 발표했다. 현재 임상 1상을 진행 중인 'CT-P70'을 비롯해 'CT-P71', 'CT-P73' 등 신약 핵심 파이프라인의 연구 성과 및 개발 속도를 공유하고 각 타깃의 적응증, 환자 규모, 미충족 의료 수요 등을 이유로 꼽으며 높은 상업화 가능성을 제시했다.
셀트리온은 이날 조명된 3종의 ADC 파이프라인 외에도 이중 표적을 타깃 할 수 있는 '이중특이적 ADC'와 페이로드 조합을 통해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듀얼 페이로드 ADC'의 순차적 개발 계획도 밝혔다.
서진석 셀트리온 대표는 "오랜 기간 항체 분야에서 쌓아온 자체 경험과 노하우에 더해 적극적인 협업을 통해 신약 개발에 속도를 높이고 있다"며 "미충족 의료 수요가 높은 항암 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영역에서 더 나은 치료 대안을 제시할 수 있는 다양한 신약을 개발해 빠르게 상업화를 이끌어 낼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