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시범사업 중인 대중교통 무제한 이용 정액권인 기후동행카드를 전국으로 확대해달라는 민원에 대해 "당장 확답하기 어렵다"고 답했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가 대중교통 이용자의 확대를 통해 온실가스 절감을 목표로한 친환경 교통정책이다. 기후동행카드는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대중교통(지하철·버스)과 따릉이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이다. 이용범위는 서울과 일부 경기 지역으로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 승하차하더라도 사용이 가능하다.
|
한 민원인은 지난 5일 서울시 민원·제안 통합시스템인 '응답소'의 시장에게 바란다 코너에 올린 글에서 기후동행카드의 전국 단위 확대를 제안했다. 민원인은 "(각 지역에서만 사용되는) 기후동행카드는 6만3000원, 지역 공영자전거 포함 이용시 6만5000원에 사용하고 관할지역 인접 도·시·군으로 출퇴근하는 사람들은 7만5000원, 전국적으로 호환되는 선불카드를 구매하고 싶은 사람들은 10만원에 구매하게 해 기후동행카드를 전국으로 확대하자"고 제안했다.
민원인의 제안이 시행된다면 인천시에서만 이용시 6만3000원으로 구매하고 인천시에서 서울시로 이용시 7만5000원의 금액으로 구매하는 등 가격에 차등을 두고 이를 전국단위로 확대하자는 제안이다.
이어 그는 "서울만 사용하는 기후동행카드를 구매해 경기도로 넘어갈 때는 하차 후 다시 승차해야 한다는 불편 사항이 있다"며 경기도까지의 확대 실시를 주장했다.
이에 서울시는 "내부 검토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다"고 답했다. 서울시 교통정책과는 "귀하께서 건의해주신 이용범위와 이용가능 교통수단 확대 여부는 서울시 내부 검토만으로 결정할 수 있는 사항이 아니며 관련 지자체, 운송기관, 운송기관, 국토부 등 관계기관 간 합의가 선행돼야 할 사항"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건의해주신 다른 교통정책과의 통합과 요금 다양화 여부는 더욱 심도 깊은 논의가 필요하므로 현재로서 확답을 드리기 어려운 점 양해 바란다"고 덧붙였다.
끝으로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 이용시민의 불편사항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수도권 기초단체·운송기관과 지속적으로 협의하고 있다"며 "귀하의 제안처럼 보다 많은 시민들이 혜택을 누리실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