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쿠팡에 대한 공정거래위원회(공정위)의 규제 결정에 고물가 대응 방안으로 떠오른 자체브랜드(PB) 상품 시장이 위축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왔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PB 상품이 소비자 물가 부담을 덜어주는 효과가 있다.
19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PB 상품은 해외에서도 고물가 대응 방안 중 하나로 작동하고 있다. 공정위가 쿠팡에 유통업계 사상 최대 과징금 부과를 결정하면서 업계에서는 국내 PB 상품 시장이 위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내 PB 상품의 시장 점유율은 전 세계 주요국에 비해 낮다. 글로벌 시장 조사 업체 스태티스타에 따르면 한국의 PB 상품 비중은 3%로, 전세계 주요 50개국 중 43위다. 지난해 1분기 PB 상품의 시장 점유율은 스위스(52%)가 가장 높았고 영국(46%)과 스페인(43%)이 뒤를 이었다.
PB 상품에 대해 이은희 인하대 소비자학과 교수는 "대형 유통업체가 품질을 책임지고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하는 PB 상품 특성상 고물가 대응에 효과적"이라면서 한국의 낮은 PB 상품 비중에 대해서는 "상품 다양성을 해치지 않는 선에서 비중을 늘릴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낮은 가격에 좋은 품질의 제품을 구매할 수 있는 PB 상품은 소비자에게 편익을 제공한다. 이 교수는 이번 공정위 쿠팡 규제 결정에 대해선 "PB 상품 공급 측면에서는 위축될 수 있다"면서도 "역으로 이번 쿠팡 사태가 전반적인 PB 상품 마케팅이 될 수도 있다"고 덧붙였다.
공정위는 쿠팡에 대한 규제가 PB 상품 전반에 대한 규제는 아니라고 강조했다. 이번 규제는 쿠팡의 '검색순위 알고리즘 조작'과 '임직원을 이용한 후기 작성 및 별점 부여'에 대한 것이라는 설명이다.
공정위는 지난 14일 쿠팡과 쿠팡의 PB상품을 전담 납품하는 CPLB에게 시정명령과 함께 과징금 1400억원을 부과하고 두 법인을 검찰에 고발하기로 결정했다.
CPLB는 쿠팡의 지분 100% 자회사로 2020년 7월 쿠팡 PB사업부에서 분사했다. 쿠팡은 알고리즘을 조작하고 임직원을 동원해 후기를 작성했다는 등 의혹을 받는다. 온라인 플랫폼이자 상품 판매자인 쿠팡이 이중적 지위를 이용해 PB 상품을 포함한 자사 상품을 부당 우대했다는 것이다.
쿠팡 관계자는 "모든 유통업체는 각자의 PB 상품을 우선적으로 추천 진열하고 있다"며 "조작이 아닌 정상적인 알고리즘 운영"이라고 항변했다. 임직원 후기에 대해서는 "임직원이 작성한 리뷰임을 명시했으며 별점을 낮게 주더라도 불이익을 주지 않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