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반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국 장기채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이다./사진=이미지투데이
하반기 금리인하 기대감이 커지면서 미국 장기채 ETF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는 모습이다./사진=이미지투데이

미국이 하반기 기준금리 인하에 돌입할 것이란 전망에 따라 금리인하기 수혜를 볼 수 있는 미국 장기채 ETF(상장지수펀드)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이달(1일~18일) 국내 개인투자자들은 국내 상장된 17종의 미국 장기채 ETF를 총 1189억8147만원어치 사들였다. 그중 'TIGER(타이거) 미국30년국채프리미엄액티브(H)'가 371억원으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 뒤를 이어 'ACE(에이스) 미국30년국채액티브(H)'과 'KODEX(코덱스) 미국30년국채+12%프리미엄(합성 H)'도 각각 264억원, 186억원어치 순매수했다.


올해 하반기 미국이 금리인하를 단행할 것이란 전망에 힘이 실리면서 미 장기채 ETF에 투자수요가 쏠리는 모습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9월 금리인하 확률을 100%로 반영했다. 시장에선 연말까지 3회 금리인하 확률도 50% 넘게 반영하는 등 여러 차례 금리인하 전망이 다시 대세가 되는 분위기다.

통상 금리가 하락하면 채권 가격은 상승한다. 금리가 높을 때 발행된 채권에 대한 수요가 상대적으로 늘기 때문이다. 만기가 긴 채권일수록 만기가 짧은 채권보다 변동성이 탄력적이기 때문에 금리가 하락이 예상될 때 만기가 긴 장기채권 투자를 통해 높은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다.


오태동 NH투자증권 리서치본부장은 "금리 인하 사이클이 개시되는 해에는 실제 단기채 성과도 좋았다. 올 3분기 금리인하가 예상되는 만큼 기존 장기채 투자자라면 차익을 실현하고 단기채로 만기 변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지난 6월 미국 대선 토론에서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승리한 것으로 평가된 이후 미국 장기채권 금리가 급등하는 등 채권시장 불안이 가중되긴 했다. 다만 '대선'은 단기적인 변수라는 게 시장의 중론이다.

하이투자증권은 "2016년 대선 사례에서 보듯 트럼프 대통령 당선 발 금융시장 충격을 예상하지만, 오히려 주가 랠리와 경기호조가 이어진 바 있어 이번에도 트럼프 재선 리스크에 대해 과도한 우려는 경계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