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삼척 삼표시멘트 공장 전경. /사진=최유빈 기자
강원도 삼척 삼표시멘트 공장 전경. /사진=최유빈 기자

건설 경기 장기 침체가 시멘트 출하량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어 시멘트업계의 시름이 깊다. 올해 시멘트 출하량이 최근 10년간 출하량 중 최저를 기록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 상황에서 내년에도 반등이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24일 한국시멘트협회가 발간한 '2024년 시멘트 수급 전망'에 따르면 올해 1~3분기 시멘트 출하(내수)는 3222만톤으로 전년 같은 기간(3698만톤) 대비 약 13% 감소했다. 현재 추세를 감안하면 올해 내수 총 출하량은 4400만톤 수준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시멘트 산업은 건설 경기 침체로 타격을 입었다. 올해 1~8월 건설수주액은 약 109조원으로 정부의 적극적인 경기부양 정책 등의 영향으로 상승세로 전환됐지만, 단기간 내 과거 수준을 회복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국내 시멘트업계는 극성수기에 해당하는 3분기에도 판매량이 두 자릿수 가까이 줄었다. 일부 시멘트 업체는 내수 부진에 따른 재고 증가로 일부 생산설비에 대한 가동 중단까지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건설경기 침체로 생산량의 대부분을 내수판매에 의존하는 시멘트업계의 타격이 심각한 상황임을 알 수 있다.

내년 수요는 올해보다 더 감소할 전망이다. 국내 수요가 4200만톤 이하로 떨어질 경우 내수 출하량이 2014년 출하량 수준까지 감소할 것으로 관측된다.


한국시멘트협회 관계자는 "급격한 출하 감소에 따른 매출 부진의 탈출구가 보이지 않으며 전기요금 인상에 따른 제조원가 상승 및 탄소중립 등 환경부문 설비투자 확대를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시멘트업계는 초긴축 재정운용이 불가피하다"고 밝혔다.

이어 "연간 1억톤이 넘던 일본의 시멘트 출하가 이제는 4000만톤 이하로 추락했듯이(일본시멘트협회는 올해 약 3500만톤의 내수 출하 전망) 국내 시멘트 출하도 4000만톤 이하로 떨어질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가정하고, 생존을 위한 기나긴 터널을 지나야 할 각오를 다져야 할 때"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