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는 아동학대, 빈곤, 이혼, 미혼출산 등으로 인해 보호대상아동이 지속적으로 발생함에 따라 아동 보호체계를 대폭 강화한다.
도는 예방부터 사후관리까지 단계별 보호체계를 마련해 △위기아동 조기발견과 개입 △피해아동 회복 지원 △아동보호 인프라 확충 △예방사업 확대와 민관협력 강화를 추진한다고 24일 밝혔다.
도는 'e아동행복지원시스템'을 활용해 공과금 체납, 예방접종 미이행 정보 등을 분석(연 3회)하고 만 3세 가정양육아동 전수조사(연 1회), 취약계층 아동 사례관리, 행복지킴이단(33천명) 운영을 통해 위기아동을 조기에 발견하고 신속하게 개입할 방침이다.
또한 도내 전 시군에 아동학대 전담 공무원(45명)과 아동보호 전담요원(36명)을 배치해 보호대상 아동의 욕구 평가부터 보호조치, 양육상황 점검, 원가정 복귀까지 통합적으로 지원한다. 아동학대 전담의료기관 지정(광역 1개소, 지역 26개소)을 확대해 피해아동의 신속하고 전문적인 치료를 돕고 고위험 가정 240가구를 대상으로 심층 지원을 실시해 재학대를 예방한다.
아동보호 인프라도 확충한다. 서부권 아동보호전문기관을 3월 초 신축 이전해 피해아동의 응급보호와 상담·치료 기능을 강화하며 학대피해아동쉼터 1개소를 추가 설치해 하반기 개소할 계획이다. 공동생활가정 종사자는 3명에서 4명으로 확대(총 104명)하고 호봉제를 도입해 처우를 개선한다. 가정회복프로그램 전문인력도 109명에서 117명으로 보강해 맞춤형 사례관리 서비스를 강화한다.
배재영 도 보육정책과장은 "보호대상아동이 꾸준히 증가하는 만큼 민간, 경찰과 협력해 든든한 사회적 울타리를 구축하고 아이들이 건강한 사회 구성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