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를 사칭하는 해외쇼핑몰 피해를 본 이들이 늘어나고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지난 24일 뉴스1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초부터 국제거래소비자포털에 접수된 유명 아웃도어 브랜드 사칭 피해 관련 상담 건수는 총 106건으로 집계됐다. 브랜드별로 노스페이스 53건, 데상트 20건, 디스커버리 17건, 코오롱스포츠 16건이었다.
공식 홈페이지와 유사한 인터넷 주소(URL)를 사용하는 사칭 사이트들은 인스타그램 등 SNS 광고를 통해 소비자를 유인했다. 브랜드의 공식 명칭과 로고, 상품 소개 등을 그대로 사용해 소비자들이 공식 홈페이지에서 구매하는 것처럼 오인하게 했다. 처음 접하는 쇼핑몰이나 인스타그램, 유튜브 등의 광고를 통해 판매 사이트에 접속했다면 해당 브랜드 또는 공식 유통업자가 운영하는 쇼핑몰이 맞는지 검색 포털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한다.
사칭 사이트들은 재고 정리 등을 내세워 수십만원에 달하는 의류 등에 90% 이상 넘는 할인율을 적용해 저가로 판매한다고 광고했다. 판매 약관에 청약 철회가 가능하다고 명시했고 공식 홈페이지의 사업자 정보(사업자등록번호, 대표자 성명, 연락처 등)를 그대로 사용했다. 하지만 구매 후에는 주문정보 확인이 불가능하고 주문취소 버튼이 없어 신뢰성에 의심이 든 소비자들이 판매자에게 이메일로 취소를 요청했으나 판매자로부터 아무런 응답을 받지 못했다. 아울러 하자 있는 제품이 배송돼 사업자에게 환불을 요구했으나 과도한 배송비를 요구받는 경우도 있었다.
이에 소비자원은 "판매자에게 사실확인과 소비자 불만 해결을 요청하는 이메일을 발송했으나 답변받지 못했다"며 "판매자의 정확한 정보도 확인이 어려워 피해구제가 쉽지 않다"고 밝혔다.
소비자원은 SNS 광고를 보고 구매한 유명 브랜드 상품 관련 소비자 피해가 계속해서 발생하고 있다며 지나치게 저렴한 제품은 가품일 가능성이 커 구매 여부를 신중하게 결정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소비자들에게 해외쇼핑몰 이용 시 피해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차지백 서비스' 신청이 가능한 신용·체크카드를 사용하고 해외쇼핑몰과 분쟁이 원만히 해결되지 않으면 국제거래소비자포털에 도움을 요청해달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