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선사시대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 등재될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12일(이하 한국시각) 뉴스1에 따르면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이날 오후 '반구천의 암각화'의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된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5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로부터 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가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심사한 결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 권고'가 됐다'며 통지를 받았다고 밝힌 바 있다.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과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 |
국가유산청은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센터에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제출했다. 이후 서류·현장 실사 등 심사 절차를 거쳐, 이번에 이코모스로부터 세계유산 '등재 권고' 의견을 받게 됐다.
이코모스는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준다"며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가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이어진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자 문화 발전을 집약하여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이코모스는 '반구천의 암각화'가 첫 번째 세계유산 등재 기준인 인간의 창의성으로 빚어진 걸작이라는 점, 세 번째 등재 기준인 현존하거나 사라진 문화 전통과 문명의 독보적인 증거를 충족하는 '탁월한 보편적 가치'를 지닌 유산이라고 권고했다.
이 같은 권고에 따라 제47차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에서 '반구천의 암각화'의 등재 여부가 최종 결정될 예정이다. 등재가 확정되면 한국은 총 17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