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광복 80주년을 맞아 독립운동가 80인을 선정하고, 경기도 독립운동 사료 발굴과 문화사업을 추진한다.
경기도는 9일 광복 80주년을 기념하는 다양한 사업을 발표했다. 도민들과 독립운동의 역사를 공유하고, 국민 통합과 애국심을 고취하기 위해서다. 지난 106주년 삼일절 기념식을 시작으로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 독립운동 사료 발굴 및 수집 등 16개 사업을 진행한다.
주요 사업으로 독립운동가 80인 선정, 항일유적지 플로깅 및 국내외 독립운동 역사탐방,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기념사업, 경기권 통일+(플러스)센터 개관. DMZ 평화 마라톤 대회 등이다.
먼저 주요 사업 중 하나로 경기도 독립기념관 건립을 추진한다. 독립운동의 역사를 기록하고 전시하며 계승할 공간 마련을 위해서다. 이번 달부터 10개월간 연구 용역을 진행한다. 비전과 목표, 핵심 콘텐츠 및 공간 구성, 부지 선정 등의 기준을 마련할 계획이다.
경기도 지역의 독립운동사를 발굴하고, 관련 사료를 수집한 작업도 함께 진행한다. 판결문, 수형인명부 등을 통해 독립운동가 사료를 정리하고 국가보훈부에 독립유공자 포상을 신청할 예정이다. 또한, 독립유공자 2~3세대를 만나 정리하는 구술자료의 발간도 검토 중이다.
경기도 내 독립유공자 1,500여 명 중 대표적인 독립운동가 80인도 선정한다. 광복회 경기도지부와 함께 추진하는 이번 사업을 통해 도는 교육과 행사 등을 활용해 이들의 업적을 적극 알릴 계획이다. 지난 3.1절 기념행사에서는 경기도 독립운동가 80인 중 첫 인물로 교하군(현 파주군) 출생 조소앙 선생을 소개했다.
도는 독립운동과 광복의 의미를 지역 중심으로 알리기 위해 시군 단위 문화예술 사업을 지원하는 '문화사업 공모'를 진행한다. 올해 총 10억 3,600만원 규모의 예산을 들여 20개 안팎의 시군 사업을 선정한다. 특히 2025년 8월 23일에 합창과 관현악의 만남으로 관객들에게 경기시나위오케스트라 국악 칸타타 '빛이 된 노래'를 선보인다.
경기 최초의 평화·통일 관련 복합문화시설 '통일 플러스(+)센터'를 오는 9월 개관한다. 의정부시 캠프 라과디아 반환 공여지에 설립 예정인 센터는 통일부가 전국 7개 권역에 설치하는 지역거점 참여 플랫폼이다. 이를 광복 80주년과 연계해 남북 평화와 공존의 의미를 확산할 계획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지난 1월 자신의 SNS(누리소통망)에 "올해 '광복 80주년'은 나라를 바로 세울 이정표가 되어야 한다"면서 "정의를 바로 세워 국민 통합을 이루는 광복 80주년, 함께 만들어 나가자"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