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가 대학생 현장실습생들의 노동환경 실태를 점검하고 개선책을 마련하기 위한 연구 결과보고서를 17일 발표했다. 4개월간 진행된 이번 연구는 실습생들의 임금, 노동시간, 작업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실효성 있는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연구 결과 발표회에서 공개된 실습생들의 경험담은 긍정적인 평가와 부정적인 평가가 극명하게 나뉘었다. 긍정적인 측면에서는 "진로 탐색에 도움이 됐다", "실제 직무 경험을 통해 취업 준비에 유용했다", "채용 시장의 높은 문턱을 넘기 위한 기회가 됐다"는 의견이 나왔다.
하지만 부정적인 경험을 토로하는 목소리도 적지 않았다. "기업 정보 부족으로 원치 않는 실습기관을 선택했다", "반복적인 단순 노동만 하다 보니 아르바이트와 다를 바 없었다", "자율형 실습의 경우 최저임금조차 받지 못했다", "직무 교육 없이 단순 보조 업무만 수행했다"는 등의 불만이 제기됐다.
실습생들은 제도 개선을 위해 다양한 의견을 제시했다. "실습기관 및 직무 선택 폭 확대", "실습 후기 및 기관 평가 공유 공간 마련", "실습과 취업 연계 프로그램 확대", "실습 경험 공식 인정 및 경력 인증 제도 도입" 등이 주요 건의 사항이었다.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이종선 책임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현장실습학기제 운영 전반을 조사·분석해 대학생 현장실습생들의 노동권 보호와 안전한 실습 환경 조성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한 것"이라며 "실습생들이 보다 나은 환경에서 실무 경험을 쌓을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조상기 경기도 노동권익과장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 현장실습생들의 권익을 보호하고, 안전한 실습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실효성 있는 정책을 마련하겠다"며 "현장실습이 단순 노동력 제공이 아닌, 학생과 기업 모두에게 도움되는 제도가 될 수 있도록 연구결과를 대학, 기업 관계자들과 공유하여 제도 개선을 위한 후속 논의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