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6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에서 열린 내년 FIFA 북미 월드컵 관련 TF 회의에 참석해 “11년 전 러시아를 G8에서 제외한 것이 매우 어리석은 결정이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하고 있다. 2025.05.07 ⓒ AFP=뉴스1 ⓒ News1 우동명 기자

(런던=뉴스1) 이지예 객원기자 = 유럽연합(EU)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와의 무역 협상에서 뒷전으로 밀려나며 조바심에 빠졌다.

미국과 가장 격렬하게 치고받던 중국도, 브렉시트(영국의 EU 탈퇴)한 영국도 트럼프 대통령과 무역 합의를 했는데 미국의 핵심 서구 동맹인 유럽은 체면이 서지 않고 있다.


영국 일간 텔레그레프는 13일(현지시간) 미국이 영국, 중국과 잇달아 무역 합의를 타결하면서 유럽에서도 신속한 '휴전'을 기대하는 목소리가 나오지만 EU는 트럼프 대통령의 협상 순서에서 여전히 뒷줄에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미국과 중국의 무역 합의 발표 이후 백악관에서 기자들과 만나 "EU는 여러 면에서 중국보다 더 고약하다(nastier)"면서 "이제 막 그들과 협상을 시작했다. 그들은 곧 크게 물러설 거다. 두고 보라"고 말했다.

미국은 중국과의 합의를 통해 서로에 대한 관세를 90일간 115%p씩 인하하기로 했다. 영국과는 미국의 영국산 철강·자동차 관세 완화와 영국의 대미 농축산물 시장 개방을 골자로 하는 무역 합의를 지난 8일 발표했다.


EU와의 무역 협상은 감감무소식이다. 트럼프 대통령을 달래기 위한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아일랜드 정상들의 외교 공세에 EU의 초강력 보복책인 '무역 바주카포' 검토설까지 흘러나왔지만 미국은 꿈쩍도 하지 않고 있다.

미국은 수입산 철강 알루미늄 자동차 품목별 관세 25%와 모든 EU 수입품에 대한 20% 상호관세를 발표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각국에 매긴 상호 관세는 90일간 유예하고 협상을 진행 중이다.

텔레그레프는 "이제 EU에 대한 협상 타결 압력이 더욱 거세지고 있다. 일본과 한국이 EU보다 먼저 트럼프 대통령과 관세에 관해 합의할 수도 있어서 특히 그렇다"면서 "유럽 재계가 90일 유예 기간 만료 후 미국과의 무역 전쟁이 발발할 가능성을 불안해한다"고 전했다.

유예 기간이 끝나고 7월 초 미국의 20% 상호관세가 발효되면 자동차 산업을 위주로 유럽의 대미 수출 타격이 불가피하다.

EU가 보복에 돌입하면 미국 피해도 극심할 전망이다. EU 지도부는 미국과 '무관세' 합의를 추진하고 있지만 협상 결렬 시 미국산 항공기, 자동차, 화학 제품, 식료품 등에 대한 전방위 보복 관세를 계획하고 있다. 미국 빅테크(거대 기술기업)와 금융 등 서비스 부문을 겨냥한 맞불 책 가능성도 제기된다.

벨기에 싱크탱크 브뤼겔 연구소는 이들 대서양 동맹 사이 '노 딜'(합의 무산) 충격이 현실화하면 미국과 EU의 국내총생산(GDP)이 각각 0.7%포인트, 0.3%포인트 날아갈 수 있다고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