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기도가 올여름 집중호우와 태풍 등 풍수해에 대비해 재난안전대책본부에 '비상대비' 단계를 신설하고,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를 활용한 재난 감시 체계를 구축한다.
경기도는 이 같은 내용의 '2025년 여름철 풍수해 종합대책'을 수립하고 오는 15일부터 10월 15일까지 풍수해 대책기간 근무 강화에 돌입한다고 14일 밝혔다.
먼저, 현장 중심의 상황관리 체계를 구축하고 대응인력 확보를 추진한다. 이를 위해 도는 이상기후에 따른 기상변동성과 돌발성 기상에 선제적 대응에 나선다. 사전 예비특보와 특보 없이 발생하는 극한호우 등 위험기상에 대비해 재난안전대책본부의 본격적인 가동 이전 '비상대비' 단계를 신설한다.
비상1단계부터 시군 본청에서 읍·면·동으로 직접 지원인력을 편성하는 정책도 실시한다. 도시 기반시설 노후화·지하화와 도민 고령화로 인한 '우선대피 대상자' 대피 지원 등 현장 대응 인력 수요가 증가를 고려한 대응이다.
또,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한다. 이에 도는 앞서 지난 2월부터 하천 준설, 하천변 차단기 설치, 산사태·급경사지 알람장치 설치 등 13개 사업에 625억원을 투입하는 '기후위기 대응 전략사업'으로 인명피해 예방을 위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와 함께 시군에 있는 폐쇄회로(CC)TV 17만 대를 통합해 운영 중인 '경기도 360° 스마트 영상센터'는 IoT(사물인터넷) 재난감지 센서, ICT(정보통신기술) 차단·통제 장비 등 재난관리시설을 연계해 광역 차원의 체계적인 모니터링을 실시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