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북부청사 전경. /사진제공=경기도

경기도가 북한이탈주민의 안정적인 정착을 돕기 위해 총 32억5190만원의 예산을 투입, 15개에 달하는 다양한 지원 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를 위해 경기도는 북한이탈주민의 생애주기별 수요를 반영해 맞춤형 신규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기존사업을 확대해 건강한 가정 형성, 경제적 자립, 소통·화합 및 인식 개선 등 삶 전반에 걸친 지원사업을 펼친다.


먼저 북한이탈주민 부모 양육자를 대상으로 1대1 양육 코칭을 제공하여 자녀 양육의 어려움을 덜어준다. 또한 자녀들에게는 방문 교육과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을 운영하여 학업 적응을 돕는다. 특히 탈북 대학생들에게는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입시 정보 제공 및 진로 멘토링을 지원, 미래 설계에 필요한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 안정적 정착을 위해 치과 진료, 국가건강검진과 연계한 추가 검사·치료를 지원해 북한이탈주민의 체계적 건강 관리를 돕는다.

경제적 자립 지원을 위해서는 취업 준비 북한이탈주민에게 취업 교육비를, 창업을 희망자에게는 전문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인턴십 지원사업과 장기근속자 가족캠프를 통해 취업 유지와 자립 기반 마련을 지원할 계획이다.


남북한 주민 간 이해 증진과 사회통합을 위한 소통·화합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남북한 가족 간 상호 이해와 편견 해소를 위한 결연사업도 벌인다. 음악회·공연 관람을 지원하는 힐링문화산책, 도내 14개 시군에서 펼쳐지는 지역사회 소통·화합사업도 진행한다.

이와 함께 경기도는 하나센터를 중심으로 지자체, 경찰청 등과의 협업을 강화하여 위기 상황을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통합 안전지원 체계를 구축한다. 동시에 돌봄상담센터를 통한 1대1 맞춤형 상담 서비스도 제공하여 북한이탈주민의 심리적 안정과 사회 적응을 위한 촘촘한 안전망을 마련한다.

이형은 경기도 평화기반조성과장은 "북한이탈주민이 단순히 정착하는데 그치지 않고,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자립하고 공존할 수 있도록 다각적인 지원책을 마련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