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강화했지만 고가 아파트들에선 신고가가 기록되며 추가 규제 가능성이 제기된다. 사진은 서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서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와 용산구에 이어 서울 마포·성동, 경기 분당 등 고가 지역에서 아파트 실거래가가 지속 상승하고 있다. 정부가 6·27 대출 규제를 강화한 지 3개월이 가까워 오지만 집값 불안이 지속돼 추가 규제가 시행될 가능성이 제기된다.

한국부동산원이 15일 발표한 '8월 전국 주택가격 동향 조사'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집값은 전월 대비 0.06% 상승했다. 이는 7월 상승 폭(0.12%)보다 절반 줄어든 수치이나 실거래가에선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 서울은 같은 기간 집값이 0.45% 오르며 7월(0.75%) 대비 상승세가 둔화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서울 마포구 염리삼성래미안 전용 84㎡는 지난 2일 17억9000만원(15층)에 거래됐다. 지난달 24일 동일면적(16억1500만원·7층)보다 1억7500만원 뛰었다. 성동구 금호삼성래미안 전용 59㎡는 지난 1일 12억5000만원(8층)에 손바뀜됐다. 6·27 대책 발표 이후 거래인 지난 7월12일 동일면적(11억9000만원·7층)보다 6000만원 상승한 금액이다. 성동구 대장 아파트로 꼽히는 래미안옥수리버젠 전용 59㎡도 지난달 30일 21억원(12층)에 거래돼 지난 6월(20억원·19층)보다 1억원 이상 높아졌다.

이들 지역에선 부동산원 통계도 상승 현상이 뚜렷했다. 송파구(1.2%)는 서울 내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고 이어 용산(1.06%) 성동(0.96%) 서초(0.61%) 마포(0.59%) 동작(0.56%) 강남(0.54%) 등이 뒤를 이어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마포·성동·분당 신고가 속출에도 수요 침체 여전

서울 송파구의 롯데월드타워 스카이라운지에서 바라본 강남과 송파 아파트 모습. /사진=뉴시스

다만 이 같은 현상이 부동산 거래시장 전체를 반영하진 않은 것으로 보인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아파트 평균 거래금액은 지난해 9월 12억6113만원에서 올해 9억4469만원으로 3억원 이상 하락했다. 거래량도 같은 기간 3057건에서 742건으로 감소했다. 일부 고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대출 규제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상승 거래가 눈에 띄는 현상이 나타난 것으로 해석된다.

김효선 NH농협은행 WM사업부 ALL100자문센터 부동산수석위원은 "마포·성동구의 아파트 가격이 오른 것은 사실이지만 해당 지역 내에서도 한강변 벨트라인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몰리고 있다"며 "구 전체를 동일하게 평가하는 것은 무리"라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가격이 낮은 단지들은 여전히 거래가 부진하다"며 "거래량이 늘지 않은 상황에서 규제 확대는 부작용이 클 수 있다"고 우려했다.


1기신도시 중 가격이 가장 높은 분당도 신고가 행진이 이어졌다. 준공 30년 이상인 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상록우성3차 전용 57㎡는 지난달 29일 14억8000만원(9층)에 거래됐다. 지난 5월(12억7500만원·10층) 대비 2억500만원 올랐다. 분당 대장아파트인 정자동 파크뷰 전용 139㎡도 지난달 22일 29억5000만원(8층)에 거래돼 지난 7월(21억5000만원·28층)보다 8억원 상승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지난 11일 취임 100일 기자회견에서 "부동산 안정을 위한 대책은 계속될 수밖에 없다"며 "초과 수요, 투기 수요를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강남3구와 용산구에 적용했던 '투기지역' 규제가 마포와 성동, 분당 등으로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남혁우 우리은행 WM영업전략부 부동산연구원은 "강남3구와 용산 등에서 대출 규제에도 가격 상승을 기대한 실수요자가 유입되는 효과가 컸다"고 분석했다. 이어 "성동·마포·강동·동작·광진구 등은 갭투자 수요도 늘어나고 있다"며 "토지거래허가구역 추가 지정에 대한 우려로 수요자가 빠르게 움직이는 현상도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