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남도에 대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가 28일 경남도청에서 실시된다. 이번 국감에서는 정치권 의혹과 재난 대응, 항만 개발 등 굵직한 현안을 동시에 다루는 '고강도 평가전'이 될 전망이다.
경남도청은 지난주부터 사실상 '비상근무' 체제에 돌입했다. 국감 준비단을 중심으로 질의 예상문항과 답변 자료를 점검하고 영상과 행정보고서까지 재검토하는 등 촘촘한 대응 준비에 나섰다. 박완수 지사도 직접 주요 현안 질의를 챙기며 대응 논리를 정리 중이다.
이번 국감 최대 이슈는 명태균 씨 증인 출석이다. 재판 일정으로 불투명했던 명 씨가 2022년 지방선거 공천 개입, 창원 제2국가산단 정보 유출, 남명학사 채용 청탁 등 의혹 관련 증언대에 서게 되면서 정치적 파장이 예상된다. 도청은 "도정과 무관하다"는 점을 강조하지만 정치권에서는 갖가지 예측이 난무하고 있다.
재난 대응 부문도 날선 검증이 예상된다. 올 3월 산청·하동 산불, 7월 서부경남 집중호우로 인명과 재산 피해가 발생한 가운데 국회는 재난 대응체계 적정성과 복구 예산 집행의 투명성을 들여다볼 계획이다. 도는 예방 중심 재난관리 체계 강화를 내세우지만 현장 대응 미흡 사례가 드러날 경우 도정 신뢰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다.
행정통합, 진해신항 개발, 낙동강 물관리 등 핵심 정책도 도마 위에 오른다. 특히 경남도가 추진 중인 부산항만공사 명칭 변경 문제는 정치적 논란을 증폭시킬 소지가 크다. 이와 함께 지방재정 운용, 지역소비 쿠폰, 산업재해 대응 등 민생 관련 현안 전반이 폭넓게 점검될 예정이다.
이번 국감은 그동안 경남도정과 향후 정책 방향을 가늠하는 '분수령'이다. 정치적 변수와 재난 대응, 민생 현안이 한꺼번에 충돌하는 만큼 도청은 이전 어느 국감보다 촘촘하고 전략적인 대응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