곽노정 SK하이닉스 대표이사 사장(CEO)이 인공지능(AI) 시대를 이끌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Full Stack AI Memory Creator)라는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AI 확산으로 데이터 이동량이 폭발적으로 늘고 메모리의 역할이 급격히 확대되는 가운데 SK하이닉스가 단순한 '공급자'(Provider)를 넘어 AI 생태계를 함께 설계하고 혁신하는 '창조자'(Creator)로 진화하겠다는 선언이다.
곽 사장은 3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린 'SK AI 서밋 2025' 기조연설에서 "지금까지 SK하이닉스는 고객이 원하는 제품을 적시에 공급하는 풀 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의 역할을 해왔다"며 "이제는 고객의 문제를 함께 해결하고 생태계와 활발히 협력해 기대 이상의 가치를 제공하는 크리에이터가 되겠다"고 말했다.
그는 "AI 시대에는 혼자만의 역량이 아니라 파트너들과 협업을 통해 더 큰 시너지를 내는 기업이 성공할 것"이라며 "SK하이닉스는 고객 만족을 최우선 가치로 삼아 기술과 생태계 발전을 이끌겠다"고 강조했다.
"AI 시대, 메모리는 단순 부품 아닌 핵심 가치 상품"
곽 사장은 AI 시대의 핵심 경쟁력이 '메모리'에 있다고 진단했다. 그는 "AI 확산이 가속화되면서 데이터 이동량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프로세서의 발전 속도를 메모리가 따라잡지 못하는 '메모리 월'(Memory Wall)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산업의 가장 큰 과제"라고 말했다.
이어 "AI 성능에서 메모리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커지면서 메모리는 단순 부품이 아닌 AI 산업의 '핵심 가치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며 "이제는 기존 방식만으로는 요구되는 성능을 달성하기 어렵다"고 지적했다.
SK하이닉스가 새롭게 내세운 비전은 풀 스택 AI 메모리 크리에이터다. 곽 사장은 "AI 컴퓨팅의 공동 설계자(Co-Architect)이자 파트너, 생태계 기여자(Eco-Contributor)로서 풀 스택 AI 메모리를 창조하는 기업이 되겠다"고 했다.
단순 제품 공급을 넘어 AI 연산 구조와 시스템 아키텍처 단계부터 고객과 함께 설계하고 최적화하는 역할까지 수행하겠다는 의미다. 곽 사장은 "AI 시대에 메모리의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다"며 "프로바이더 역할만으로는 부족하다. 고객의 당면 과제를 함께 해결하며 생태계와 협력해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겠다"고 밝혔다.
이날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시장을 이끌 커스텀(Custom) 고대역폭메모리(HBM), AI 전용 D램(AI-D), AI 낸드(AI-N) 등 차세대 기술 라인업을 전격 공개했다. SK하이닉스는 커스텀 HBM 시대의 본격적인 시작점을 7세대 'HBM4E'로 전망했다. 이 제품은 2026년부터 개발에 착수할 예정이며 8세대 'HBM5'는 2029년 시장이 열릴 것으로 내다봤다. 또 AI-D와 AI-N 분야 공략도 2026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곽 사장은 "지금까지의 메모리 설루션이 컴퓨팅 중심으로 통합됐다면 미래 메모리 설루션은 컴퓨팅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며 AI 추론 병목을 구조적으로 해결하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이라고 말했다.
먼저 커스텀 HBM은 범용 제품에서 벗어나 고객 맞춤형으로 진화한 HBM이다.그래픽처리장치(GPU)나 주문형 반도체(ASIC)에 있던 일부 기능을 HBM 베이스 다이로 옮겨 연산 효율을 높이고 통신 과정에서 발생하는 전력 소모를 줄인 것이 특징이다. 이를 통해 시스템 전체의 성능과 에너지 효율을 동시에 개선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SK하이닉스는 AI-D와 AI-N도 각 제품의 영역을 세분화해 제품군을 다변화하는 솔루션을 준비하고 있다고 했다.
글로벌 파트너십 확대…"AI 혁신은 협력으로 완성"
AI 생태계 내에서 고객, 파트너와의 협업도 한층 강화한다. AI 시대의 경쟁 방식은 이제 파트너십 중심의 생태계 협력 구조로 재편되고 있다. 최첨단 기술을 오로지 한 기업의 역량만으로 끌고 가는 시대는 지나갔고 함께 더 큰 시너지를 만들어내는 기업이 결국 승자가 될 것이라는 분석이다. 곽 사장은 "AI 시대의 경쟁력은 생태계와의 협력에서 나온다"며 "고객과 파트너, 산업 전반이 연결된 개방형 협업 구조를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SK하이닉스는 현재 엔비디아와 HBM·디지털 트윈(Digital Twin) 협력, 오픈AI와의 고성능 메모리 공급 계약, TSMC와의 차세대 HBM 베이스 다이 공동 개발 등 다각적인 글로벌 파트너십을 추진하고 있다. 또 샌디스크와는 HBF(High Bandwidth Flash) 국제 표준화를 함께 추진 중이며 네이버클라우드와는 차세대 AI 메모리·스토리지 최적화를 위한 데이터센터 협력을 확대하고 있다.
곽 사장은 "AI 시대에는 더 이상 혼자만의 기술로는 한계가 있다"며 "파트너들과 함께 고객 만족을 최우선으로 미래를 개척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