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가정보 제공업체인 상가뉴스레이다가 국토해양부에서 집계한 매장용 빌딩 공실률 및 임대료 추이를 조사한 결과 공실률은 2011년 1분기 8개 도시 및 전국적인 수준이 9.%에서 2013년 3분기 기준 9.7%로 나타났다. 2002년 4.4% 2003년 5.3%와 비교할 때 2배 가까운 공실률이 발생하고 있는 것이다. 평균보다 낮은 공실률을 보이고 있는 서울지역도 2002년 2.8% 2003년 3.3%와 대비할 때 2배 수준의 공실률을 나타내고 있어 전반적인 공실 타개가 이뤄지지 않고 장기화 되고 있는 양상이다.
![]() |
반면 건물 동수는 줄고 있지만 공급총면적은 늘고 있어 점차 건물의 대형화 추세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상가 공급을 위한 증축 개축 신축 등을 포함한 상업용 건물의 착공량은 2011년 4만8330동 2346만2070㎡에서 2012년 47720동 2444만4132㎡, 2013년 4만6418동 2527만2738㎡로 조사됐다.
선종필 상가뉴스레이다 대표는 "2014년 정부의 정책적 화두가 내수부양을 통한 경기회복을 발표하고는 있지만 내수부양의 견인력이 약하고 신규 착공물량이 늘고 있어 상가시장의 급격한 반등을 기대하기는 어렵다"면서 "상가투자시장의 기대수익율 하향조정과 수익률보다는 안정성에 무게를 둔 투자가 중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