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전남 목포의 한 아파트 주차장이 침하돼 주민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302동과 303동 앞 주차장과 도로가 무너져 주민 1명이 다치고 주차된 차량 1대가 부서졌다. 이 아파트 이름은 ‘신안비치3차’다.
사건과 전혀 관계가 없지만 신안(신안종합건설)은 이 사건으로 노심초사다. 바로 해당 아파트의 건설사인 신안건설산업과 유사한 사명 때문이다.
송종석 신안 홍보팀 이사는 “이 사건의 건설사가 신안이 아니냐라는 전화를 수십통 받았다”면서 “전혀 다른 건설사이지만 이름이 비슷해 소비자들은 물론 건설업계 관계자들도 혼란스러워하고 있다”고 말했다.
건설업계는 전통적으로 유사 상호가 많다. 따라서 대형건설사의 현장인지, 동명이사인지 분간하기 쉽지 않다. 대형건설사는 물론 중견·중소업체들 간에도 유사 상호가 많아 식별이 어려운 게 사실이다.
상호가 아예 똑같은 건설사들도 많아 소비자들은 혼란스럽다. 특히 아파트 청약을 할 때에도 비슷한 건설사 이름 때문에 착각해 청약을 잘못하는 사례도 비일비재해 소비자들은 더욱 신중함이 요구되고 있다.
소비자들의 혼란을 일으키는 사명 중 대표적으로 ‘삼성’이 들어간 건설사들이 있다. 래미안 이름을 사용하는 삼성물산(건설부문)과 삼성중공업(건설사업부) 등은 삼성그룹의 계열사지만 그 외 삼성건설, 삼성종합건설 등의 비슷한 이름의 건설사들은 삼성그룹과 무관한 업체다.
e-편한세상 브랜드를 사용하는 대림산업 역시 대림건설과 대림종합건설, 대림개발 등 비슷한 이름을 가진 건설사가 있다. 센트레빌의 동부건설도 동부종합건설이 있고, 신동아건설(파밀리에)도 신동아종합건설이라는 비슷한 회사가 있다.
아예 똑같은 이름을 가진 업체도 있다. 상호에 ‘금강’이 들어간 회사는 무려 20개가 넘는다. 이중 ‘금강종합건설’은 같은 이름을 가진 회사만 9개가량 건설협회 회원사로 등록돼 있다. 태영건설(데시앙)도 태영이 들어간 회사가 여러개다.
양지영 리얼투데이 팀장은 “이름만 봐서 같은 건설사로 오인할 만 여지가 많다”면서 “소비자들은 청약 시 해당 건설사의 정확한 이름을 아는 것이 중요하고, 그 외 시공능력과 주택 브랜드, 홈페이지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향후 낭패를 면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금강'만 20곳 이상… "건설사 이름 헷갈리네~"
노재웅 기자
1,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