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주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 자료제공=서울시 |
서울시는 '희망지' 단계 도입 등 선정 과정을 개선해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 2단계 지정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앞서 시는 지난해 창신숭인·해방촌 등 13곳의 도시재생지역을 '서울형 도시재생활성화지역'으로 선정하고 활성화 계획을 수립하는 중이다.
그러나 그동안 주민의 자발적 공감대가 성숙하지 않은 상황에서 지역이 지정돼 사업이 더디게 진행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시는 2단계 지정에 '사전 준비단계'를 도입, 공모부터 지정까지 약 1년간 주민 공동체 활동 기반과 생태계 조성을 진행할 계획이다.
대상지 선정은 ▲경제기반형(광역차원)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도심활성화거점) ▲근린재생 일반형(노후 저층주거지) 등 3개 유형으로 구분된다. '경제기반형'과 '근린재생 중심시가지형'은 광역 차원의 신경제거점과 도심 활성화 거점 지역이 각각 대상이다.
자치구의 제안과 심사위원회 심사를 통해 후보지가 선정되며 앞으로 도시재생 아이디어 시민 공모 등 공론화 과정을 거쳐 재생 필요성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는 게 시의 방침이다. 구체화한 아이디어는 활성화 지역 선정과 별개로 즉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근린재생 일반형'은 쇠퇴한 주거지역과 골목상권 활성화를 위해 선정한다. 주민 공모를 통해 희망지 20곳을 선정, 1곳당 최대 1억2000만원을 지원해 하반기 주민역량강화사업 등을 진행한 뒤 주민역량이 갖춰진 곳을 활성화 지역으로 선정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원활한 준비단계 추진을 위해 ▲마을공동체종합지원센터 ▲사회적경제지원센터 등 중간지원조직을 구성하고 지역활동가와의 협력체계를 구축해 희망지사업 초기부터 실행까지 모든 과정을 종합 지원할 예정이다.
시는 도시재생 '시민역량강화 4단계 프로세스'를 통해 준비단계(공론화 과정·희망지 사업)를 진행한 뒤 오는 2017년 '2025 서울시 도시재생전략계획' 변경을 통해 사업지를 확정할 계획을 내놓기도 했다.
진희선 시 도시재생본부장은 "그동안 도시재생은 주민의 자발적 공감대와 지역 역량 부족으로 사업추진에 어려움을 있었다"며 "지역 지정 이전부터 도시재생에 대한 공감대형성과 주민역량 강화가 이뤄지면 도시재생사업 및 지역 활성화도 가속화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