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특히 전남도가 대대적인 자체 감찰에 들어가 허위출장 의혹을 받은 공무원들을 무더기로 적발했지만 징계는 하지 않아 제식구 감싸기란 지적이 나온다.
26일 전남도에 따르면 자신을 7급 공무원이라고 밝힌 이 공직자는 '청렴도 최하위 원인은 7급에게도 있다'는 글을 통해 "허위출장이 잘못된 것인 줄 알면서도 묵인했다"고 노조게시판을 통해 실토했다.
이어 그는 "이 돈으로 밥먹고, 때론 명절에 나눠갖기도 하고, 좋은 점도 있다고 스스로 합리화했다"고 고백했다.
또 "한달 수입에 초과 근무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다보니 저 또한 불필요한 초과근무를 했다. 가족에게 노출되지 않은 비상금이었는데 이제부터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이처럼 거짓으로 타낸 출장비가 개인 쌈짓돈처럼 쓰여진다는 내부 양심고백까지 나왔음에도 전남도가 수박겉핥기식 감사와 솜방망이 처분으로 일관해 빈축을 사고 있는 것.
도 감사관실이 지난해 11월부터 본청과 사업소를 대상으로 한 공직감찰에서 출장신청을 냈지만 출장을 가지 않고 자리를 지키고 있던 공무원 14명을 적발해 단순 구두 경고 조치했다.
도 감사관실 관계자는 "이들은 당시 업무처리차 출장을 못갔다고 해서 당시 계도기간이어서 구두 경고 조치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한편 7년째 청렴도 하위권에 머물고 있는 전남도는 지난해에 17개 시도 가운데 청렴도 꼴찌를 기록했다.
전남도는 모든 실과를 대상으로 청백-e 시스템, 자기진단제도, 청렴 마일리지로 구성된 자율적 내부통제제도를 시행하는 등 매년 청렴도를 끌어올리기 위한 극약 처방을 내놓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