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최근 발생한 경주시에서 금은방을 운영하는 60대 여성의 수십억대 곗돈 사기 사건과 아주 흡사한 일이 부산 기장군에서도 불거져 충격을 주고 있다.

22일 피해자 등에 따르면 기장군에서 금은방을 운영하는 A씨는 2019년부터 낙찰계에 피해자들을 가입시켰다. 5천만원에서 1억원까지 낙찰받는 계를 20여개 하면서 곗돈을 받아 왔다. 또, A씨는 금은방을 운영하면서 주변 지인들에게 '지금 금값이 저렴한데 매입할 자금이 필요하다'면서 곗돈 이외의 자금을 빌린 경우도 상당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월 수백만원의 곗돈을 넣었으나 약속된 금액을 수개월동안 받지 못하고 있는 피해사례가 계속 발생하고 있다. 관할 경찰도 사건 내용을 인지하고 예의주시하면서 지켜보고 있다.

피해자들은 해결책이 보이지 않자 급기야 채권단을 구성하면서 법적 대응을 준비하고 나섰다. 30여명의 채권단 피해규모만 약 40억원에 달한다. 그러나 피해사실을 숨기고 있는 피해자까지 합치면 피해금액이 약100억원에 육박할 것이라는 소문이 확산하고 있다.

특히 B씨는 전직 기초자치단체장과 형제지간으로 단체장의 인지도를 이용했다고 생각하는 피해자들이 비난의 화살을 전직 단체장으로 옮기고 있다. 이에 전직 단체장은 자신과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면서 항변하고 있다.


월500만원을 붓는 낙찰계에 가입한 피해자 B씨는 "아들의 월급까지 보탰는데, 1억5천만원 정도를 받지 못하고 있다. 제발 아들 월급이라도 받을 수 있으면 좋겠다"라고 하소연했다.

한편, 최근 경주 감포읍에서 금은방을 운영하는 60대 여성이 전·현직 시의원, 자영업자 40여명 등을 대상으로 계를 운영하던 중 갑자기 잠적한 사건이 발생했다. 피해자들은 매달 200만원 정도의 곗돈을 붓는 방식으로 한 명당 수천만원에서 수억원을 A씨에게 맡겼다. 현재까지 35명이 21억원을 받지 못했다며 경찰에 고소했고, 경찰은 피해자가 더 있어 피해 금액이 더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번 사건으로 지난 5월4일 경주 감포읍장을 단장으로 한 전담팀이 꾸려졌고, 경주경찰서도 경제팀 수사관 7명으로 구성된 수사전담팀을 구성해 사건을 수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