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바퀴에 체중을 매다는 발명, '와이어 스포크'</b>
1870년대에 등장하여 서양에서 폭발적인 인기로 '단체 라이딩 시대'를 열었던 고풍스런 디자인의 하이휠 자전거(High-wheel bicycle)는 라이더의 다리 길이에 따라 앞바퀴 지름이 결정되었다. 장애물에 걸려 앞으로 고꾸라질 위험이 컸음에도 젊은 남성들은 자신의 신체조건이 허락하는 한 큰 바퀴의 하이휠로 달리고자 했으니, 바퀴가 클수록 속도가 빠르다는 경험지식 때문이었다. 그리고 지금도 그렇듯 당시 라이더들은 최대한 가벼운 '머신'을 원했다.
![]() |
▲ 하이휠에 오른 신사들(1886년). 서구 국가에서 1970-1980년대는 하이휠의 시대였다. 지역마다 단체 라이딩을 목적으로 동호회가 결성되었고, 회원들은 유니폼을 맞춰 입었다. / 출처 : ‘Two gentlemen ride penny-farthings in Los Angeles’, LA공공도서관, 1886. |
![]() |
▲ 하이휠 자전거(1885년) / 출처: ‘Windsor Ordinary Bicycle’, 런던 과학박물관 ObjectWiki |
<b>자전거 바퀴의 종결자, '탄젠트 스포크'</b>
다수의 얇은 스포크가 바퀴의 허브와 림 사이의 공간에 방사형으로 설치되어 인장력으로 하중을 지지하는 와이어 스포크 방식은, 페달링 시 허브에 가해진 회전력(토크)을 림(rim, 굴렁쇠)으로 전달하거나 거꾸로 브레이크를 잡을 때 림에 가해진 회전력을 허브로 전달하기에는 무리가 있었다. 스포크가 방사형으로 설치된 경우 회전력은 굽힘의 형태로 스포크에 작용하는데 가느다란 스포크는 굽힘을 버티는 강도가 약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스포크의 수를 늘리면 전달할 수 있는 회전력은 커지겠지만, 무게도 함께 증가한다는 문제가 뒤따른다.
이 '회전력 전달'의 문제를 해결한 이는 영국의 제임스 스탈리(James Starley)인데, 그의 첫 하이휠 제품인 아리엘(Ariel)에서부터 문제해결 노력이 돋보인다. 그는 허브의 회전력을 림으로 전달하기 위해 바퀴마다 별도의 'ㄱ' 자형 막대를 두 개씩 설치했다.
![]() |
▲ 제임스 스탈리의 아리엘 하이휠(1870년) 스포크는 허브를 당겨 올려 하중을 지지하고, 페달링 시 허브의 회전력은 'ㄱ' 자형 막대에 의해 림에 전달된다.※ 사진 속 자전거의 두 바퀴는 전시 과정에서 좌우가 뒤집혀 (잘못) 장착된 것으로 판단된다. |
탄젠트 스포크 구조에서 각 스포크는 허브의 접선(tangent) 위치에 결합됨으로써 허브의 회전력은 하중과 마찬가지로 스포크에 인장력의 형태로 작용하여 림으로 전달된다. 이로써 아리엘 바퀴의 'ㄱ' 자형 막대는 더 이상 필요 없게 되었다.
![]() |
▲ 와이어 스포크(좌)와 탄젠트 스포크(우)의 차이 |
※ 본 연재물은 생산기술연구원 자전거종합연구센터(윤덕재 센터장)가 진행 중인 '자전거 특허기술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작성되고 있습니다.
신병철 객원기자: 기술 분석 전문가, (주)다이나필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