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스마트카드에 따르면 지난 2012년 1월 기준 6%대에 불과했던 모바일 티머니 사용자는 지난 2013년 말에는 그 비중이 16.5%까지 치솟았다. 해당 조사가 집계된 이후 1년 정도의 시간이 더 흘렀다는 점을 감안해봤을 때 이제는 사용자 비율이 20%는 무난히 넘었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같은 모바일 교통카드의 비약적인 성장세와는 달리 고객을 위한 서비스 수준은 여전히 제자리걸음인 것으로 나타나 아쉬움이 남는다. 대표적인 예가 유심칩을 분실했을 경우이다. 만약 모바일 교통카드가 내장된 유심칩을 분실했을 경우 남은 잔액에 대해서는 어떠한 방법으로도 돌려받을 수 없다. 교통카드는 무기명 카드이기 때문에 남은 금액에 대한 이월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것이 교통카드 업계 관계자의 설명이다.
즉, 본인의 부주의로 인해 휴대폰을 분실했거나 혹은 특정 사고로 휴대폰이 파손됐을 경우 어떤 방법으로도 남은 교통카드 잔액을 돌려받을 수 없다는 말이다. 고객의 입장에서는 충전 후 버젓이 남아있는 잔액을 현재 이용 중인 휴대폰으로 이월이 불가능하다니 분통이 터질 수밖에 없다.
이같은 문제는 모바일 카드가 활성화되기 전 플라스틱 교통카드를 이용 중인 고객들 사이에서도 이미 한번 불거졌던 적이 있다. 플라스틱 카드의 경우 교통카드사 홈페이지를 통해 개인등록을 할 경우 잔액 확인이 가능함에도 분실 시 남은 금액을 환불해주지 않아 항의가 쇄도했던 것이다. 이에 교통카드사들은 분실 시에도 잔액 환불이 가능한 ‘교통 전용카드’를 내놓음으로써 사태는 일단락됐다.
교통카드 업체의 입장에서는 모바일 교통카드를 출시할 당시 과연 이같은 논란이 되풀이 될 것이란 점을 인지하지 못했을지 의문이 남는다. 또한 이와 관련해 “현재 잔액 환불 체계에 대한 문제점을 인지하고 조만간 개선된 시스템을 선보일 예정”이라고 입장을 밝혔지만 구체적인 시기에 대해서는 언급을 피했다.
원래 주인에게 돌아가지 못하고 쌓여가는 잔액들이 과연 어떻게 보관되고 있을지 여부도 의문이다. 한국스마트카드의 경우 환불처리가 이뤄지지 않은 잔액에 대해 기부금의 방식으로 활용하고 있다고 입장을 밝혔다. 하지만 고객의 입장에서는 잔액을 돌려받지 못하고 타의적인 기부를 진행하는 것이니 이 방법도 그리 적절해보이지는 않는다.
모바일 교통카드 충전금액은 당연히 보장돼야 할 고객의 재산이다. 첫 단추가 잘못 끼워졌더라도 추후 이를 인지했다면 바로 잡는 것이 옳다. 모바일 교통카드 잔액 환불 방식, 새해에는 정말 달라져야 한다.
☞ 본 기사는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369호에 실린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