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재명 성남시장' /사진=머니투데이DB |
'이재명 성남시장'
이재명 성남시장이 '연천군 포격 주민들이 포격소리를 못 들었다'는 제하의 기사를 링크한 것에 대해 종북논란이 일자 '종북'과 '애국'에 대한 주장을 페이스북에 올려 눈길을 끈다.
이 시장은 21일 <미디어오늘>의 기사 '북에서 먼저 포격? 연천군 주민들은 왜 못들었을까'를 링크했다. 기사는 연천군 주민들이 아군의 사격 소리만 들렸다는 보도를 통해 정부를 신뢰하지 못하는 분위기 속에서 포탄의 증거나 의혹을 해명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이 시장이 또 괴담이 퍼뜨린다"고 비난했고 일부 네티즌으로부터 종북논란이 일었다.
이 시장은 23일 다시 페이스북에 "먼저, 나는 사람이 나라의 주인이라 믿는 민주주의자이며, 비민주적 반인권적인 북한을 추종(종북)하지 않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운을 띄웠다.
그는 "우리가 북한을 무력으로라도 말살해야하는 존재가 아니라 공존과 화해를 통해 평화롭게 통일해야할 동족으로 인정한다면 군사안보정책도 보복과 대립을 통한 긴장격화나 적대감 확대로 흘러서는 안됨이 자명하다"며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평화를 지키기 위해 그 어떤 댓가도 지불해야 한다. 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하고 대통령이 아닌 국민이 바로 국가이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이 시장은 또 "특정 정치세력의 이익을 위하여 국가안보를 이용하거나, 특히 국가와 국민을 위험에 빠트리는 즉 안보를 해치는 것이 바로 매국 반역행위"라며 "안보불안심리를 이용해 정치적위기를 극복하거나 정치적지지 확대를 노리는 행위, 그 중에서도 북한과 손잡고 돈까지 줘가며 총격도발을 요청해 충돌위기를 조장하는 행위(국정원이 이회창대선을 위해 벌인 총풍사건)야말로 종북 반역행위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애국' 내세우고 종북 안보 노래하는 자들이 보통 무책임하게 대대적보복 북침 전쟁불사 흡수통일을 주장한다"며 "진정한 국가안보 진짜 애국은 권력집단의 사욕을 위해 또는 권력자의 자존심을 위해 무력대치와 충돌위험을 끝없이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평화를 지키고 국민을 편하게 하며 우발적 충돌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신뢰를 구축해 평화통일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재명 성남시장이 '연천군 포격 주민들이 포격소리를 못 들었다'는 제하의 기사를 링크한 것에 대해 종북논란이 일자 '종북'과 '애국'에 대한 주장을 페이스북에 올려 눈길을 끈다.
이 시장은 21일 <미디어오늘>의 기사 '북에서 먼저 포격? 연천군 주민들은 왜 못들었을까'를 링크했다. 기사는 연천군 주민들이 아군의 사격 소리만 들렸다는 보도를 통해 정부를 신뢰하지 못하는 분위기 속에서 포탄의 증거나 의혹을 해명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이에 대해 하태경 새누리당 의원은 "이 시장이 또 괴담이 퍼뜨린다"고 비난했고 일부 네티즌으로부터 종북논란이 일었다.
이 시장은 23일 다시 페이스북에 "먼저, 나는 사람이 나라의 주인이라 믿는 민주주의자이며, 비민주적 반인권적인 북한을 추종(종북)하지 않음을 분명히 밝힌다"고 운을 띄웠다.
그는 "우리가 북한을 무력으로라도 말살해야하는 존재가 아니라 공존과 화해를 통해 평화롭게 통일해야할 동족으로 인정한다면 군사안보정책도 보복과 대립을 통한 긴장격화나 적대감 확대로 흘러서는 안됨이 자명하다"며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평화를 지키기 위해 그 어떤 댓가도 지불해야 한다. 국가는 국민을 위해 존재하고 대통령이 아닌 국민이 바로 국가이기 때문이다"라고 밝혔다.
이 시장은 또 "특정 정치세력의 이익을 위하여 국가안보를 이용하거나, 특히 국가와 국민을 위험에 빠트리는 즉 안보를 해치는 것이 바로 매국 반역행위"라며 "안보불안심리를 이용해 정치적위기를 극복하거나 정치적지지 확대를 노리는 행위, 그 중에서도 북한과 손잡고 돈까지 줘가며 총격도발을 요청해 충돌위기를 조장하는 행위(국정원이 이회창대선을 위해 벌인 총풍사건)야말로 종북 반역행위다"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애국' 내세우고 종북 안보 노래하는 자들이 보통 무책임하게 대대적보복 북침 전쟁불사 흡수통일을 주장한다"며 "진정한 국가안보 진짜 애국은 권력집단의 사욕을 위해 또는 권력자의 자존심을 위해 무력대치와 충돌위험을 끝없이 확대하는 것이 아니라, 평화를 지키고 국민을 편하게 하며 우발적 충돌가능성을 최소화하고 장기적으로 신뢰를 구축해 평화통일의 가능성을 높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