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더스 뉴햄프셔'

미국 대선 풍향계로 불리는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예비선거) 승자는 미국의 '비루쥬'들이었다. 이는 민주당 경선에서 버니 샌더스 의원이 힐러리 클린턴 전 국무장관을 압도적인 표차로 이김으로써 드러났다. '힐러리 대세론'을 꺾은 샌더스 의원에게 미국의 '비주류'들은 건당 평균 27달러(약 3만2000원)의 소액 기부로 샌더스 의원에게 힘을 보탰다. '1%'를 향한 '99%'의 운동이 막을 올렸다.


AFP통신 등에 따르면 지난 9일(현지시간) 뉴햄프셔주에서는 미 대선 레이스 중 처음으로 프라이머리 방식의 경선이 치러졌다. 뉴햄프셔주의 인구는 130만명으로 적은 편이지만 아이오와주 코커스와 함께 향후 대선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한 곳으로 꼽힌다. 지난 아이오와 민주당 코커스에서 약 0.3%포인트 차로 실질적인 무승부를 기록한 샌더스 의원은 이번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에서 60%에 달하는 지지율로 38%에 그친 클린턴 전 국무장관에 완승했다.

AFP통신은 "미국 대선 후보를 선정을 두고 예측할 수 없는 두 번째 레이스인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에서 샌더스가 비주류(anti-establishment)의 분노에 힘입어 승리했다"고 평가했다. 선거 당국은 이번 프라이머리의 투표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지난 1일 아이오와 코커스에서 샌더스 의원이 힐러리 전 국무장관과 예상 밖 접전을 벌인 데 이어 뉴햄프셔 프라이머리에서 20%포인트가 넘는 표차로 이겨 경선의 초반 흐름을 장악했다는 평가다.

'비주류의 분노'는 소액기부 운동으로 이어졌다. AFP통신에 따르면 샌더스 선거 사무소는 10일(현지시간) "샌더스 의원이 이날 하루 총 520만 달러(한화 약 63억원)를 모금했다"면서 "이는 기존의 하루 최대 모금 기록을 갈아엎은 것"이라고 밝혔다. 건당 평균 금액은 27달러(약 3만2000원)의 소액 기부로 승리가 발표된 지 18시간만의 일이다. 그간 소득 불평등 타파와 중산층 복원을 과제로 제시한 샌더스 의원에게 미국의 유권자들 다수가 공감을 표하고 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물론 샌더스 의원이 오는 11월8일의 대선에서 대통령으로 선출될지는 미지수다. 힐러리 전 국무장관의 지지세력이 여전히 견고하고, 민주당 경선을 통과하더라도 공화당 후보와의 본선 결전을 펼쳐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삶의 질이 떨어지고 불평등에 분노하는 미국의 민심이 샌더스를 통해 표출되고 있음은 분명해 보인다.
'샌더스 뉴햄프셔' 버니 샌더스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9일(현지시간) 뉴햄프셔주 프라이머리에서 승리한 후 굳게 주먹을 쥐고 있다. /사진=뉴스1(AFP 제공)
'샌더스 뉴햄프셔' 버니 샌더스 미국 민주당 대선 경선 후보가 지난 9일(현지시간) 뉴햄프셔주 프라이머리에서 승리한 후 굳게 주먹을 쥐고 있다. /사진=뉴스1(AFP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