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대출/자료=한국은행
가계대출/자료=한국은행
1월 은행 가계대출이 2조2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월 기준으로는 한국은행이 2008년  통계편제 이후 최대 증가치를 기록했다. 

15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2016년 1월 중 금융시장 동향'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가계에 대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모기지론 양도분 포함) 잔액은 641조2815억원으로 한달 전보다 2조2000억원 늘었다.

통상적으로 1월은 연말 상여금 지급, 주택거래 비수기 등 요인으로 인해 가계대출이 감소했지만 지난해 첫 1월 증가세를 보인 이후로 올해 증가폭이 확대됐다.

연도별로 보면 1월 은행 가계대출은 2008년 9000억원, 2009년 1조4000억원, 2010년 6000억원, 2011년 1조3000억원, 2012년 2조8000억원, 2013년 1조6000억원, 2014년 2조2000억원 감소했다가 2015년 1조4000억원 증가했다. 

마이너스통장대출이 기업의 상여금 지급으로 전월 대비 6000억원 감소했으며 주택담보대출은 2조8000억원 증가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주택담보대출의 경우 비수기 주택거래 둔화 등으로 전체 증가규모는 2015년 12월 6조2000억원에 비해 줄었지만 아파트 분양 호조 영향으로 집단대출이 늘면서 가계대출도 증가했다"고 설명했다.

1월 은행의 기업 대출은 전월에 비해 6조9000억원 증가해 흑자 전환했다. 대기업 대출은 지난해 12월 5조6000억원 감소에서 올해 1월 3조원 증가로 돌아섰다. 연말 부채비율 관리를 위한 상환분이 재취급된 영향이 크다 .

중소기업 대출은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와 월말 휴일에 결제성 자금 대출 상환 이연으로 올해 1월 4조원 증가했다.

1월 은행 수신잔액은  부가가치세 납부 수요 등으로 인해 기업의 수시 입출식 예금 인출로 지난해 12월에 비해 2조9000억원 감소했다. 정기예금은 일부 은행들의 예대율 관리를 위해 유치 노력으로 3조6000억원 늘었고 은행채는 일부 특수은행의 대출재원 조달을 위한 발행으로 4조1000억원 증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