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신용카드사를 제외한 여신전문금융회사의 지난해 순이익이 전년 대비 16.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금리 기조로 조달비용은 감소한 반면 가계·기업대출이 증가해 이자수익이 늘어난 영향이다.
21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카드사를 제외한 78개 여전사의 지난해 순이익은 1조5400억원으로 1년 전(1조3217억원)보다 16.5%(2183억원) 늘었다.

저금리 기조가 지속되며 조달비용과 대손비용은 감소했지만 가계·기업대출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같은 기간 조달비용과 대손비용은 총 1050억원 줄었지만 대출액은 6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로 인해 이자수익은 1477억원 늘었다.


여전사의 총 자산 역시 고유업무 이외 자산(대출금)이 증가해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기준 여전사의 총 자산은 118조원으로 전년 말(106조3000억원) 대비 11.0%(11조7000억원) 증가했다. 이 가운데 60%가량(70조2000억원)은 고유업무 이외의 자산으로 가계·기업대출금 증가의 영향으로 전년 말 대비 13%(8조1000억원) 증가했다. 할부금융 등 고유업무 자산은 47조8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8.1%(3조6000억원) 늘었다.

고유업무별 취금규모 현황을 보면 지난해 할부금융 취급액(14조5000억원)은 1년 전보다 8.9% 증가한 반면 리스 취급액(11조2000억원)은 같은 기간 8.1% 감소했다. 신기술사업자에 대한 신규 투·융자액은 18% 늘어난 1조4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같은 기간 연체율은 리스크 관리 강화 등으로 0.24%포인트 하락한 2.07%로 나타났으며 고정이하채권비율도 0.21%포인트 줄어든 2.16%로 집계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시중금리가 상승해 한계차주의 채무상환능력이 약화될 경우 여전사의 잠재 부실이 증가할 수 있다”며 “리스크 관리를 강화토록 하고 저신용·다중채무자 연체율 추이 등을 모니터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