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중독. 사진은 기사 내용과 무관. /사진=이미지투데이 |
8일 식품안전정보포털 통계에 따르면 2012~2016년 연평균 6325명의 식중독 환자가 발생했다. 특히 6~8월 여름철에 39%(2478명)로 가장 많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인 시설별로는 학교가 46%(2917명)로 가장 많았고 음식점 25%(1565명), 학교 외 집단 급식 시설 9%(588명) 등의 순이었다.
이 중 학교 등 집단 급식소 발생이 절반 이상인 55%로 나타나 집단 급식소 종사자 개인 위생과 음식물 관리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식중독 사고를 유발하는 식품은 육류와 채소류가 많았으며, 주요 원인이 되는 병원성대장균은 식재료와 조리 음식을 상온에 방치하는 등 관리 부주의로 인해 많이 발생했다.
식중독의 주요 원인균은 생고기, 생채소 또는 완전히 조리되지 않은 식품이 원인이며 묽은 설사, 복통, 구토, 피로, 탈수 등을 일으킨다.
안전처와 식약처는 식중독을 예방하기 위해 조리할 때는 비누 등 손 세정제를 사용해 30초 이상 손을 씻고, 채소류는 염소 소독액 등으로 5분 이상 담근 후 물로 3회 이상 세척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육류, 가금류, 계란, 수산물은 내부까지 완전히 익도록 충분히 가열 조리해야 하며, 조리된 음식은 상온에 방치하지 말고 가능한 2시간 이내에 섭취해야 한다.
안전처 관계자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개인 위생과 식품 위생을 철저히 지켜야 하며 식중독 예방 3대 원칙인 손 씻기, 익혀 먹기, 끓여 먹기를 꼭 지켜 줄 것"을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