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버스준공영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기지역노조 관계자들이 지난 9월26일 경기 수원시 수원역 남측 광장에서 열린 광역버스 준공영제 전면 시행 2차 촉구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경기도 버스준공영제. 전국자동차노동조합연맹 경기지역노조 관계자들이 지난 9월26일 경기 수원시 수원역 남측 광장에서 열린 광역버스 준공영제 전면 시행 2차 촉구 집회에서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뉴스1

경기도는 27일 도의회가 광역버스 준공영제 동의안을 가결한 데 대해 "도민 안전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환영했다.
도는 이날 논평을 통해 "드디어 도민의 안전을 위한 첫걸음을 뗀 것이다. 도민의 안전을 위해 큰 결단을 내려주신 도의회의 결정을 환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광역버스는 운전자의 과도한 근무시간과 많은 입석승객, 고속도로 운행 등으로 승객의 안전을 위협할 수밖에 없다"며 "언제든 우리 가족의 생명과 안전을 위협할 수 있는 불안 요소다. 일어나지 말아야 할 참사를 막는 것이 도의 책무이고,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그 출발"이라고 설명했다.


도는 "안전에는 성역이 없다. 그렇기 때문에 광역버스 준공영제는 결코 정치적 사안이 될 수 없다. 도는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위한 준비를 차질 없이 진행하겠다"며 "관련 예산을 철저히 챙겨 최대한 이른 시일 내에 시행할 것을 도민 여러분께 약속드린다"고 공언했다.

앞서 도의회는 이날 도가 제출한 광역버스 준공영제 동의안의 내용을 일부 보완한 수정안에 대한 표결을 진행, 재석의원 99명 중 찬성 67, 반대 25, 기권 7로 가결했다.

도는 다음해 초 광역버스 준공영제 시행을 목표로 관련 예산의 도의회 및 시·군의회 통과 등에 총력전을 펼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