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26일(현지시간) 오만에서 대우조선해양 이성근 사장(왼쪽)과 ASYAD그룹 압둘라흐만 살림 알 하트미 회장이 초대형원유운반선 건조 계약서에 서명한 뒤 악수를 하고 있다. /사진=대우조선해양 |
이번 계약으로 대우조선해양과 오만 정부와의 특별한 관계가 다시 한번 조명을 받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06부터 2016년까지 오만정부와 맺은 수리조선소 건설 및 위탁경영 계약을 성공적으로 수행한 바 있다. 이런 신뢰관계를 바탕으로 2008년 초대형원유운반선 5척을 수주한 데 이어 올해도 3척을 수주하는 성과를 거뒀다.
이번에 수주한 선박은 길이 336m, 너비 60m 규모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환경규제 기준에 충족하기 위해 대우조선해양의 최신 친환경 기술이 적용됐다. 옥포조선소에서 건조돼 2021년 1분기까지 선주 측에 인도될 예정이다.
클락슨리서치에 따르면 대우조선해양은 올해 전 세계에서 발주된 11척의 초대형원유운반선 중 64%에 달하는 7척을 수주해 기술력을 입증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16척의 초대형원유운반선을 수주해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물량을 확보했다.
대우조선해양 관계자는 “선주들이 대우조선해양을 다시 찾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기술력”이라며 “지속적인 기술개발로 고객만족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우조선해양은 현재까지 LNG운반선 6척, 초대형원유운반선 7척, 잠수함 3척 등 총 16척을 수주했다. 수주액은 약 27억8000만달러로 올해 목표인 83억7000만달러의 약 33%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