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서울시가 다음달 적용될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도입을 미루기로 합의함에 따라 오세훈 서울시장의 뒤바뀐 모습이 비판받고 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01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질의에 답하는 오 시장. /사진=장동규 기자
30일 서울시가 다음달 적용될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도입을 미루기로 합의함에 따라 오세훈 서울시장의 뒤바뀐 모습이 비판받고 있다. 사진은 이날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01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시정질문에서 질의에 답하는 오 시장. /사진=장동규 기자
서울시가 다음달 1일 적용하기로 했던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도입을 일주일 미루기로 자치구와 합의함에 따라 오세훈 서울시장의 일관되지 않은 태도가 도마 위에 올랐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취임 초기인 지난 4월 ‘서울형 상생방역’을 주장하며 사실상 방역 조치 완화를 주장했다.
서울시는 30일 25개 자치구와 합의해 다음달 1일 시행 예정이던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적용 시점을 일주일 연기하기로 했다. 최근 수도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심상치 않다는 이유에서다.

서울시와 자치구 등에 따르면 오세훈 서울시장과 25개 구청장은 30일 서울 중구 서울시청 6층 영상회의실에서 서울시-자치구 긴급 코로나19 특별방역대책 회의를 열고 다음달 1일 시행 예정이었던 사회적 거리두기 개편안 적용 시점을 일주일 연기하기로 합의했다.


사실상 방역 완화에 반대 입장을 보인 오 시장은 취임 초기인 지난 4월에는 방역을 완화하는 것이 골자인 ‘서울형 상생방역’을 주장했다.

오 시장은 지난 4월12일 취임 후 처음 열린 코로나19 브리핑에서 “자영업자 희생을 강요하는 ‘규제방역’이 아니라 민생과 방역을 모두 지키는 ‘상생방역’으로 패러다임을 바꾸겠다”고 밝혔다. 당시 오 시장은 자가진단 키트 활용을 전제로 업종별 특성을 반영한 영업시간 연장을 주장했다.

최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고 있다. 도표는 지난 11일부터 30일까지 코로나19 국내 발생 추이. /그래픽=뉴시스
최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세가 거세지고 있다. 도표는 지난 11일부터 30일까지 코로나19 국내 발생 추이. /그래픽=뉴시스
하지만 4월 이후 서울시 신규 확진자는 크게 줄지 않았고 본격적으로 백신 접종이 시작된 이후에도 확산세가 지속됐다. 이에 누리꾼들은 4·7재보궐 선거 당시 방역당국의 규제 위주 방역지침을 지적하며 서울시장에 당선된 직후 섣부르게 '상생방역'을 주장했던 오 시장을 비판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 
누리꾼 '걸***호'는 "시장되자마자 유흥업소 영업시간 연장하자고 하시지 않으셨나?"라고 질책했고 누리꾼 '천*'은 "국가 방역을 그리 욕하더니 해보니 만만치 않지?"라고 지적했다. 


“코로나19 예방수칙, ‘의무’이자 ‘배려’입니다”
#올바른 마스크 착용 #건강한 거리두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