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사진=이미지투데이 |
9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유동수 의원(더불어민주당·인천계양갑)이 경찰청에서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2012년 5709건이었던 보이스피싱 사기가 지난해 3만1681건으로 5.5배 급증했다. 피해 금액 또한 2012년 595억원에서 11.8배 증가해 지난해말 기준 7000억 원에 달했다. 특히 전년동기대비 올해 보이스피싱 발생 건수는 1676건(2020년 7월 1만8726건) 증가했으며 피해액은 1051억원(2020년 7월 3955억원)이 많았다.
지역별로는 지난해말 기준 서울이 9049건으로 보이스피싱이 가장 많이 발생한 지역이었으며 인천이 2048건, 부산이 1804건으로 그 다음을 이었다. 같은 기간 서울의 보이스피싱 피해액은 2230억원이었으며 부산 430억원, 인천 376억원 순이었다.
현재 보이스피싱 등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방지·환급을 위해 금융감독원, 법무부, 경찰청,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등 7개 기관이 협의체를 출범했지만 보이스피싱 건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다.
유동수 의원은 “보이스피싱 범정부 협의체 활동이 과연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는지 의구심이 든다”며 “대표번호에 전화하면 수사와 예방 등 필요한 조치를 한 번에 할 수 있는 원스톱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