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직한 서울대병원 교수가 진료실 문 앞에 붙인 자필 대자보가 화제가 되고 있다. 대자보에는 정부의 의과대학 증원으로 촉발된 의료사태에 대해 현장 의료진의 목소리를 들어달라고 호소하는 내용이 담겼다. 정부의 태도를 비판하는 내용도 담겼다.
지난 25일 뉴스1에 따르면 장범섭 서울대병원 방사선종양학과 교수는 최근 병원 지하 1층 방사선종양센터 외래 병동에 있는 자신의 진료실 문 앞에 자필 대자보를 붙였다.
장 교수는 "현재 대한민국 의료는 정치적 이슈로 난도질당하고 있다"고 말문을 텄다. 이어 의사 연봉이 3~4억이라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며 정부의 낮은 수가로 인해 5분 진료만 가능하다고 지적했다.
장 교수는 정부가 의료 현장의 목소리를 묵살하고 2000명이라는 숫자에 집착하며 증원하면 의료 재정을 고갈시킬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정부의 정책으로 "각종 불필요한 진료로 환자들은 제물이 될 것"이라고 호소했다. 이같은 상황이 지속되면 대학 병원에는 아무도 남지 않을 것이라고도 강조했다.
정부의 태도가 의료진의 힘을 빠지게 한다며 비판하기도 했다. 그는 "불혹의 나이에 각종 질병과 함께 개인 생활을 희생해가면서도 응당 그렇게 해야 한다고 생각하며 미련하게 살아온 모습이 오히려 어리석게 느껴진다"며 정부를 비판했다. 장 교수는 전문의 취득 후 6년 동안 매번 '1년 계약'을 이어왔다.
그러면서 그는 병원 교수로서 큰 회의감과 무기력함을 느꼈다며 "죄송한 마음뿐"이라고 토로했다. 그러면서도 환자들에게 "대한민국을 쑥대밭으로 만들고 있는 현 정부보다 현장 의료진 목소리를 들어달라"고 호소했다.
해당 대자보 옆에는 분홍색 하트 모양 포스트잇이 붙어있다. 메모에는 "응원합니다"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
전국 의과대학 교수들은 이날부터 사직을 시작했다. 지난달 서울의대 교수 비대위 총회에서 실시한 설문에서 '(사직서 등) 교수들의 행동이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하냐'는 질문에 1146명 중 87%가 '그렇다'고 답했다. 다음 달 1일부터 서울대 의대와 병원의 수뇌부 4명도 의료 현장을 떠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