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 시중은행 대출 창구 앞에서 한 시민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서울시내 시중은행 대출 창구 앞에서 한 시민이 이동하고 있다./사진=뉴시스

국내 가계부채 비율이 3년 반 만에 국내총생산(GDP)보다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가계부채가 GDP 100% 이하를 기록한 것은 2020년 3분기 이후 3년 반 만이다. 다만 34개국 중에서 여전히 1위를 차지했다.


9일 국제금융협회(IIF)의 세계 부채 보고서에 따르면 올 1분기 기준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98.9%로 집계됐다.

지난해 4분기 기록한 100.1%보다 1.2%포인트 낮아진 수준이다. 한국의 가계부채 비율은 2020년 3분기(100.5%) 100% 선을 뚫은 이후 3년 6개월 만에 처음 90%대로 내려왔다.

최고점을 찍었던 2022년 1분기(105.5%)보다는 6.6%포인트 낮아졌다.


다만 세계 34개 나라(유로 지역은 단일 통계)의 GDP 대비 가계 부채 비율은 한국이 98.9%로 가장 높았다. 홍콩이 92.5%로 2위를 차지했고 태국(91.8%), 영국(78.1%), 미국(71.8%)이 그 뒤를 이었다.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을 100% 밑으로 떨어뜨리면서 한은의 1차 과제는 달성됐다.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한 것은 고금리 장기화 영향으로 풀이된다.

앞서 이창용 한은 총재는 지난해 8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80%를 넘어가면 경제 성장이나 금융안정을 제약할 수 있는 만큼 현재 100% 이상인 이 비율을 90%를 거쳐 점진적으로 80%까지 낮추는 게 목표"라고 말한 바 있다.


반면 기업부채 증가세는 가팔랐다. 올 1분기 기준 한국의 GDP 대비 비금융기업 부채 비율 123.0%로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이어갔다.

한국보다 비율이 높은 곳은 홍콩(261%)·중국(170.6%)·싱가포르(127.2%)뿐이었다.

정부 부문 부채의 GDP 대비 비율은 47.1%를 기록, 22위로 중하위권 수준이었다. 전년(47.2%)과 비교해 0.1%포인트 떨어졌다.

경제 규모와 비교해 정부 부채가 가장 많은 나라는 일본(231.0%)이었다. 이어 싱가포르(172.0%), 미국(120.0%), 아르헨티나(117.7%)가 그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