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7 대출 규제 여파로 매수 심리가 위축되며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감소했다. 사진은 10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바라본 시내 아파트 단지. /사진=뉴스1

6·27 대출 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의 상승 거래 비중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주택담보대출 한도가 6억원으로 제한되며 매수 심리가 위축된 영향으로 해석된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이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지난달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포인트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포인트 늘었다.


수도권에서 하락 거래가 두드러졌다. 지난달 수도권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포인트 줄었다.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포인트 증가했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의 상승 거래 비중은 53.2%에서 51.1%로 감소했다.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3.6%포인트 증가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어든 반면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었다.

지방은 전반적으로 유지 흐름을 보였다. 지방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조사됐다. 전월 대비 각각 -0.2%포인트, +0.4%포인트 변동에 그쳤다.


다만 세종은 지방 중에서도 하락 폭이 컸다. 7월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포인트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포인트 증가했다. 행정수도 이전 등 개발 계획이 가시화되지 않아 매수세가 다소 진정됐다.

수도권과 지방 간 거래 흐름의 차이는 6·27 부동산 대책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대출 규제를 강화한 이번 대책은 수도권과 규제지역에 집중 적용된 바 있다.

직방 관계자는 "수도권 중심의 거래 위축이 지속될 경우 매매가격 하향 흐름은 더욱 뚜렷해질 수 있다"며 "투자 수요뿐 아니라 실수요자의 매수 부담도 커져 관망세로 전환되고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