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 2024.3.28/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 2024.3.28/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이밝음 기자 = 윤희숙 전 국민의힘 의원은 26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제안한 연금개혁안을 받아들여야 한다고 재차 주장했다. 윤 전 의원은 지난 24일에도 여권에서 가장 먼저 이 대표의 연금개혁안에 찬성 입장을 낸 바 있다.

윤 전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 연금개혁안에 진정성이 있는지, 왜 이제까지 손 놓고 있었는지를 따지느라 여당이 기회를 날린다면 너무나 아까운 일"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비록 필요한 개혁의 일부에 불과하더라도 지난 26년 동안 단 1%도 움직이지 못했던 보험료를 4%올리는 현재 개혁안만이라도 천금과 같은 기회가 왔을 때 처리하는 것이 미래세대의 부담을 줄이는 길"이라고 강조했다.

윤 전 의원은 "일단 22대 국회가 시작됐을 때 연금개혁 이슈가 지금과 같은 주의를 끌 수 있을지 너무나 불확실하다. 민주당과 이 대표의 진정성이 미미해 지금의 기회가 휘발될 위험이 크다는 것"이라며 "게다가 저 역시 구조개혁의 필요성을 누구보다도 적극적으로 주장해 왔지만 구조개혁 내용에 대한 여야공감대는 아직 너무 낮다"고 지적했다.

이어 "추경호 원내대표는 '(민주당의) 의지가 있다면 다음 정기 국회 내에 처리가 가능하다'고 말했지만 여당 원내대표는 '상대의 진정성과 의지가 없을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국민에게 필요한 것을 잡아채야 할 의무가 있다"고 했다.


윤 전 의원은 "여야는 각자의 진정성을 증명하기 위해서라도 이번 합의의 부대조건으로 '여야협의체를 구성해 연금 구조개혁과 추가적인 모수조정을 22대 국회의 최우선적인 과제로 추진하겠다'를 명시해달라"며 "국가와 국민을 위해 지금 중요한 것이 무엇인지에 집중하자"고 했다.

앞서 이 대표는 21대 국회 임기를 4일 남겨둔 전날 국민연금 소득대체율(소득 대비 받을 수 있는 연금 비율)을 현행 40%에서 44%로 높이는 방안을 수용하겠다고 밝혔다. 김진표 국회의장 역시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처리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지만 국민의힘은 구조개혁 없는 소득대체율 44%안은 수용할 수 없다며 22대 첫 정기국회에서 구조개혁을 포함한 연금개혁을 최우선으로 추진해야 한다는 입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