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가 중랑구 면목본동을 비롯해 총 8곳에 1690가구 규모의 모아타운을 추진·공급한다. 모아타운은 대규모 재개발이 어려운 노후 저층주거지의 정비모델인 '모아주택'을 블록 단위로 모아 대단지처럼 주택을 공급하는 정비방식이다.
28일 시에 따르면 전날 열린 제7차 소규모 주택정비 통합심의 소위원회를 열고 중랑구 면목본동을 비롯해 총 8건의 통합 심의를 통과시켰다.
면목본동 일대는 모아주택 5개소를 추진, 총 1381가구를 공급한다. 연접한 모아타운(면목동 63-1)과 정비구역(면목동 69-14 신속통합기획) 계획과 연계해 도로를 확폭하고 소공원(843.5㎡)을 신설해 휴식·여가 공간을 확보한다.
강서구 화곡동 일대 모아주택은 3개동 지하 4층~지상 11층 규모로 2028년까지 150가구(임대 15세대 가구)를 공급한다.
양천구 목동 일대 모아주택은은 1개동 지하 2층~지상 15층 규모로 2027년까지 159세대(임대 29세대 포함)를 공급한다.
이날 심의를 통해 강북구 번동 일대 모아타운 내 1~5구역 모아주택 세입자 손실 보상에 따른 임대주택 비율이 완화됐다.
시는 이주 갈등을 해소하고 세입자를 보호하기 위해 모아타운 내에서 추진되는 모아주택(가로주택정비형)에 대해 토지보상법 규정을 적용, 세입자 손실보상을 해 줄 수 있도록 2022년 10월 '서울시 빈집 및 소규모 주택 정비 조례'를 개정했다.
강북구 번동 모아타운 내 모아주택(5개소)을 첫 사례로 적용하고 세입자 손실보상에 따른 임대주택을 완화해 주기로 했다.
세입자 총 844명 중 조합설립인가일 3개월 전부터 거주한 세입자 또는 조합설립인가일 전부터 사업시행계획인가일까지 영업손실 보상 대상에 해당하는 세입자 487명에 대해 약 72억원의 손실보상금을 지급한다. 이에 해당하는 임대주택 총 38가구를 줄여 일반분양할 수 있도록 사업 시행계획 변경(안)을 변경했다.
5개 모아주택의 소유자와 세입자는 총 93%로 이주를 완료됐다. 이주가 완료되는 8월 착공해 2026년 말까지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투기 근절을 위해 다른 모아타운 대상지에서 사도 지분거래 필지가 있는 곳은 관리계획 수립 과정에 현금청산을 노린 개발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치할 방침"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