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투데이
사진=이미지투데이

월 최대 70만원씩 납입해 5년간 약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는 '청년도약계좌'가 도입된 지 1년 동안 총 133만명이 가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금융귀원회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는 가입 개시 이후 1년간 133만명이 가입해 가입 요건을 갖춘 청년 5명 중 1명이 가입했다. 1년 동안 가입을 유지한 비율은 90%로 이는 은행권 일반적금(1년 만기 기준) 45% 내외, 청년희망적금 70~80%(1~2년 경과)와 비교하면 높다.


청년도약계좌는 연 6%대 금리에 월 최대 70만원씩 5년까지 납입할 수 있다. 연 6%의 금리에 정부 기여금까지 받으면 5년간 약 5000만원의 목돈을 마련할 수 있다는 게 특징이다.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계좌 가입유지율이 90%에 이르고 있다. 청년도약계좌에 가입한 대다수 청년이 가입을 계속 유지하면서 자산을 쌓고 있는 것"이라며 "시중 적금상품 가입유지율이 45% 내외라는 점에서 청년도약계좌 가입유지율은 월등히 높은 수준"이라고 설명했다.

정부는 향후 청년도약계좌에 2년 이상 가입하고 누적 800만 원 이상 납입 시 신용점수 가점을 최소 5~10점 이상 부여할 방침이다. 전산개발 등을 거쳐 올 4분기 중 시행된다.


부분인출서비스도 도입된다. 2년 이상 가입자에 한해 만기 전 납입액의 40% 이내 인출할 수 있다. 상품약관 개정을 4분기 중 거쳐 내년부터 시행된다.

현재는 긴급하게 자금이 필요한 경우를 감안해 특별중도해지 및 적금담보부대출을 운영 중이지만, 계좌를 유지하면서 부득이한 목돈 지출 상황에 대처하기는 충분하지 않았다는 지적에 따른 개선이다. 단 부분인출분에 대해선 약관상 중도해지이율이 적용된다.

'원스톱 청년금융 컨설팅센터(오프라인 센터+웹사이트)'도 구축해 청년 대상 자산·부채 컨설팅 서비스도 제공한다. 올 4분기 중 오프라인 센터 5개소 및 웹사이트를 개설해 시행한다.

아울러 애플리케이션(앱)에서 청년도약계좌 납입 관련 필수정보·혜택 등을 보다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UX 개선하고, 청년도약계좌 SNS를 개설해 금융 관련 정보·혜택도 제공한다.

김 부위원장은 "지금 청년 세대의 경우 기존 세대보다 소득 흐름으로 자산을 늘려갈 수 있는 기회가 부족해졌으나, 경제 구조적 변화로 앞으로 짊어지게 될 잠재적 부담은 커지고 있다"며 "청년들에게 보편적 자산 형성의 기회를 부여하면서 금융 여건을 개선해 기회와 부담의 격차를 줄여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