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금융그룹 밸류업 계획/그래픽=김은옥 기자
KB금융그룹 밸류업 계획/그래픽=김은옥 기자

금융그룹 최초 순이익 5조원을 달성한 KB금융그룹이 총 1조7600억원을 주주환원에 투입한다. 지난해 5조 클럽에 가입한 KB금융은 올 상반기 약 5200억원 규모의 자사주를 매입·소각하는 등 주주환원에 속도를 낼 전망이다.

5일 KB금융은 지난해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이 5조782억원으로 집계됐다고 5일 밝혔다. 전년(4조5948억원)보다 10.5% 늘어난 최대 기록이다.


KB금융의 순이자이익(12조8267억원)은 5.3% 증가했다. 시장금리 하락에 그룹과 은행의 연간 순이자마진(NIM)은 각 2.03%, 1.78%로 1년 사이 0.05%포인트 씩 낮아졌다. 순수수료이익(3조8496억원)은 4.8% 늘었다. 신용카드 수수료 이익이 약 1000억원 늘고 투자은행(IB) 부문의 증권업 수입수수료가 늘어난 덕이다.

KB국민은행의 순이익은 3조2518억원으로 1년 전보다 0.3% 줄었다. 하지만 홍콩H지수(항셍중국기업지수) ELS 손실 피해 보상 관련 대규모 일회성 비용 처리를 고려하면 실제로는 상당 폭 증가한 셈이다.

비은행 계열사인 KB증권, KB손해보험, KB카드, 라이프생명의 순이익은 각각 5857억원, 8395억원, 4027억원, 2694억원으로 50.3%, 17.7%, 14.7%, 15.1% 증가했다.

CET1 비율 13.51% 달성… 1.76조 주주환원 쏜다

KB금융의 주주환원의 지표인 CET1(보통주자본)비율은 13.51%로 나타났다. 지난해 말 급격한 환율 상승과 계절적 감익에 소폭 하락했으나 13.5%선을 지켰다. KB금융은 지난해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서 CET1비율에 주주환원을 연계하는 '밸류업 프레임워크'를 발표했다. 상반기 13%, 하반기 13.5% 초과를 목표를 세운 프레임워크다.


KB금융은 초과분에 해당하는 자본 약 1조7600억원을 올해 연간 현금배당 총액과 자사주 매입·소각 재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하반기 CET1비율 13.5%를 초과하는 자본도 추가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이날 이사회는 연간 현금배당 총액을 감안해 올 상반기 5200억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소각도 결의했다. 지난해 결산 현금배당은 주당 804원을 결정하면서 전 분기(795원)보다 상향했다. 총 주주환원율도 39.8%로 높아졌다.

KB금융은 기업가치 제고 계획에 따라 투자자 소통도 강화한다. 실적발표회에 사전 접수된 개인주주 질문을 경영진이 직접 답변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은행권이 준비하는 맞춤형 소상공인 금융지원도 차질없이 동참할 방침이다.

KB금융 재무담당 임원은 "2024년은 밸류업의 원년이 된 해로 평가할 수 있다"며 "앞으로 밸류업 방안을 흔들림 없고 중단 없이 이행하고 그룹의 RoRWA(위험가중자산이익률) 중심의 질적 성장 노력도 지속할 예정이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