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정 광주시장이 6일 오전 광주AI집적단지 내 국가AI데이터센터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사진=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이 6일 오전 광주AI집적단지 내 국가AI데이터센터에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과 만나 환담을 나누고 있다./사진=광주시

강기정 광주시장은 6일 "광주 인공지능(AI) 2단계 사업의 예비타당성조사 면제를 조속히 확정해 달라"고 정부에 요청했다.

강 시장은 이날 광주 AI 집적단지를 방문한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을 만나 "정부의 한박자 빠른 투자를 통해 글로벌 AI 기술격차를 단축해야 한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광주는 비수도권 최초로 AI 초기 생태계 기반이 조성된 곳"라며 "AI 1단계 후속 사업인 2단계 사업이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조속한 예타 면제와 추경 편성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광주는 AI 1단계 사업을 통해 '인프라-기술개발-실증-상용화'가 가능한 AI 산업 생태계를 완성했다. 기반 시설을 기업이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AI 2단계 사업을 추진 중이다.

강 시장은 "컴퓨팅 자원(GPU)과 초대형 드라이빙 시뮬레이터와 같은 실증 장비 등을 기업이 연구개발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강 시장은 국가 AI 컴퓨팅센터 광주 설립도 제안했다. 광주는 국내 'H100'의 절반을 보유하고 있고 국가 AI 데이터센터 운영 경험이 있으며 촘촘한 AI 인재 양성 사다리를 갖춘 최적지로 꼽힌다.

유상임 장관은 "급변하는 AI 시대에 AI 글로벌 3대 강국 도약을 위해 국가적 역량이 결집돼야 하고 지역사회에도 인공지능의 잠재력이 적극 활용돼야 한다"며 "AI기업이 지역에서도 좋은 환경에서 경쟁력을 확보해 성장할 수 있도록 지역 AI 연구개발 인프라를 지원하고 인공지능이 지역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도록 협력하겠다"고 말했다.

유 장관은 이날 광주 첨단 3지구에 있는 광주 AI 집적단지를 방문해 광주 AI 데이터센터 운영 현황을 점검하는 등 AI 1단계 사업의 성과를 확인하고 AI 현장 소통 강화를 위해 광주지역 AI 기업들과 현장 간담회를 갖고 기업들의 애로사항과 정책 제안 등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