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 기업 에스티큐브가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기반 대장암 임상을 본격화한다. /사진=에스티큐브
바이오 기업 에스티큐브가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기반 대장암 임상을 본격화한다. /사진=에스티큐브

바이오 기업 에스티큐브가 차세대 면역항암제 개발을 위한 바이오마커 기반 대장암 임상을 본격화한다.

18일 에스티큐브는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전이성 대장암 치료제 개발을 위한 면역항암제 '넬마스토바트'의 1b/2상 임상시험계획서(IND)를 제출했다고 공시했다. 넬마스토바트는 에스티큐브가 최초로 발견한 면역관문 단백질 BTN1A1을 표적으로 하는 물질이다.


이번 임상은 회사 주도 임상시험(SIT)으로 진행된다. 미국 식품의약국(FDA)을 비롯한 글로벌 규제기관의 허가기준을 충족하는 데이터를 확보하고 다국적 제약사들과 기술 수출 협상에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과정이다.

임상시험은 옥살리플라틴과 이리노테칸 기반 항암화학요법에 불응성 또는 불내성을 보이는 전이성·재발성 대장암 환자가 대상이다. 표준치료제 중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평가받는 트리플루리딘·티피라실(TAS-102)과 베바시주맙 병용요법에 넬마스토바트를 추가해 효능과 안전성을 평가한다. 고대안암병원 등 국내 5개 대학병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에스티큐브는 이번 임상을 통해 기존 면역관문억제제가 개척하지 못한 대장암 시장에서 BTN1A1 기반 면역항암제의 치료적 효용가치를 확인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앞당길 예정이다. BTN1A1의 과학적 타당성이 충분히 검증된 만큼 앞으로 바이오마커 기반 임상을 통해 임상적 성과를 극대화할 방침이다.


유승한 에스티큐브 연구개발총괄(CSO)은 "연구자 임상을 통해 넬마스토바트의 대장암 치료 가능성을 열었다면 이번 임상은 글로벌 시장의 상업적 요구를 충족하고 보다 심층적인 연구를 진행하기 위한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