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이 18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뉴스1

국민의힘과 정부는 "인공지능(AI)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관련 학과에 국가장학제도 도입을 추진하고 중장기적 무상교육을 실현할 것이다"고 밝혔다.

18일 뉴스1에 따르면 이날 국회에서 열린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당정협의회'에서 권영세 국민의힘 비대위원장은 "독자적 AI 기술을 확보하지 못할시 경제뿐 아니라 사회 나아가 안보 측면에서도 치명적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AI 경쟁에서 밀릴시 대한민국 미래가 없다는 '생즉사 사즉생' 절박함으로 임해야 한다. 당정뿐 아니라 민관도 한마음으로 협력하고 실효성 있는 대책을 수립해 전광석화 속도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다


권성동 원내대표 역시 "통상적 수준을 넘어선 과감한 전략과 결단이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인재"라고 강조했다. 특히 "국가첨단 전략기술을 연구하는 청년들이 마음껏 도전하도록 해당 학과 대학생에게 획기적인 국가 장학제도를 도입하고, 중장기적으로 무상교육이 실현되도록 하겠다"며 "AI 발전에 필수적인 주 52시간 예외 조항이 담긴 반도체특별법과 전력망확충법의 조속한 통과가 시급한데 주 52시간 예외 없는 반도체특별법은 특별법이라고 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유상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은 "주 52시간 제한은 어느 선진국에서도 국가 연구개발 인력자에게 적용하지 않는다. 반도체뿐 아니라 어떤 연구자도 이 제한을 받아서는 안 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부족한 AI 컴퓨팅 자원을 확보해 AI 모델, 인재 등 생태계 전반을 아우르는 AI 국가 역량 강화 방안이 필요한 시점이다. 인재들이 다시 국가로 돌아올 수 있도록 방안을 반드시 마련해 시행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