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3 비상계엄에 가담해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는 현역 군인이 총 30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 병력이 국회에서 철수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12·3 비상계엄에 가담해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는 현역 군인이 총 30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사진은 비상계엄 당시 계엄군 병력이 국회에서 철수하는 모습. /사진=뉴시스

12·3 비상계엄에 가담해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는 현역 군인이 총 30명으로 파악됐다.

19일 뉴스1에 따르면 안규백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방부로부터 받은 자료에는 검찰·경찰·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으로부터 수사 대상이 된 현역 군인은 지금까지 총 30명이라고 적혔다.


이중 장성급 인사가 17명으로 50%가 넘는 수준이었다. 대장(4성)급은 1명(박안수 육군참모총장)이며 중장(3성)급은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 곽종근 전 육군특수전사령관, 이진우 전 수도방위사령관, 정진팔 합동참모본부 차장, 원천희 국방정보본부장 등 5명이다.

이밖에 소장(2성)급 문상호 전 정보사령관과 박헌수 국방부 조사본부장 등 3명, 준장(1성)급 구삼회 육군2기갑여단장, 방정환 국방부 국방혁신기획관 등 5명이 포함됐다. 수사 개시 대상엔 준장 진급 예정자 3명도 포함됐다.

영관급 장교는 대령 11명, 중령 1명, 소령 1명 등 13명이다. 계급이 가장 낮은 군인은 정보사령부 소속 소령이다. 위관급 장교나 부사관, 의무복무 중인 병사는 현재까지 수사 대상에 오르지 않았다.


소속 부대별로는 방첩사 소속이 8명으로 가장 많았다. 방첩사는 정치인 등 주요 인사 체포조를 운영하는 등 계엄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했다는 혐의를 받는다. 그 뒤로는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등에 군 병력을 출동시킨 특전사 6명과 정보사 5명, 국방부 조사본부 3명, 수방사 2명이 수사를 받는 것으로 확인됐다.

수사 개시 통보된 30명 중 박안수 총장과 여인형, 이진우, 곽종근, 문상호 전 사령관 등 5명의 장성급 인사들은 이미 재판이 진행 중이다. 이들은 모두 내란 중요임무 종사, 직권남용 권리행사 방해 혐의가 적용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