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와 오는 28일 금요 회동에서 2022년 대선 당시 약속했던 대통령 임기 단축에 대해 분명하게 이야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25일 경기도에 따르면 김 지사는 지난 24일 JTBC 시사프로 '오대영 라이브'에 출연해 "3년 전 대선에서 당시 이 후보와 연대하면서 5개 항에 서명했다"며 "첫 번째가 '권력구조 개편을 포함한 개헌'으로 이미 대통령 임기 단축까지 약속했다"고 말했다.
이어 "그때는 지방선거와 맞추기 위해 1년 임기 단축을 이야기했는데, 다가오는 3년 뒤에 총선과 대선을 함께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며 "선출되는 대통령이 국정운영을 이제 안정적으로 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또 "현행 헌법은 개헌 당시 대통령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며 "만약 대통령 임기를 2년 단축해 다음 총선과 대선 시기를 맞춘다면 그 대통령은 다음 대선엔 출마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런 혼란스런 상황에서 살신성인하고 자기 임기를 단축하는 희생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지난번 다른 매체와 인터뷰에서 본인이 이런 상황이라면 기꺼이 임기단축을 수용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최근 이 대표의 통합행보 질문엔 '긍적적'이라고 답했다. 김 지사는 "통합행보는 긍정적이지만, 시작에 불과하다"며 "보다 다양한 목소리를 듣고 다른 생각을 가진 다양한 당내 여러 세력을 끌어안고 토론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제대로 된 정권교체를 하려면 한목소리의 일극체제 아닌 다양한 목소리를 조화롭게 끌어안는 것이 민주당의 경쟁력을 높여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비명계 인사들의 '희망과 대안' 포럼 출범에 영상 축사를 보낸 김 지사는 이들과 연대를 묻는 앵커의 질문에 "(당내 경선에서) 대화하고 함께 뜻을 나누는 건 얼마든지 가능하고, 일부 분들하고 대화를 나누고 있다"며 "지금 단계에서 연대라기보다는 정권교체와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들기 위해 뜻을 모으는 것은 언제든지 할 수 있다"고 긍정적으로 답했다.
최근 여야간 평행선을 달리고 있는 반도체 특별법 '주 52시간 근로제 예외' 적용 문제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견해를 밝혔다. 김 지사는 "주 52시간 때문에 반도체가 어려운 건 지극히 작은 얘기"라며 "이 문제는 첫 번째로 반도체 사업이 왜 어려운지 원인 규명을 분명히 해야 하는 것이 첫 번째"라고 지적했다.
두 번째로 "이와 같은 52시간 예외가 다른 산업으로 확산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애초 도입 취지에 반할 수 있다"며 "이런 이유로 예외를 두는 것에 원칙적으로 반대한다"고 밝혔다. 다만, "삼성전자에서 1~2년간 20번 넘게 활용한 특별연장근로 인가제도 등과 같은 행정조치와 보완을 통해 할 수 있는 것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