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유통업계 영업이익에 반영된 일회성 비용인 통상임금 충당금이 기업별로 규모가 다르게 나타났다. 이마트는 타 유통기업에 비해 통상임금 충당금이 높은 편이었다. 직원 수가 많고 근속연수가 높다는 점, 기업마다 급여 체계가 다르다는 점이 이유로 꼽힌다.
26일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연결기준 통상임금 충당금은 ▲롯데쇼핑(할인점+백화점 등) 532억원 ▲이마트 1529억원(희망퇴직보상금 등 포함 시 일회성 비용 2132억원) ▲신세계 353억원 등이다.
|
통상임금 충당금은 지난해 12월 대법원 전원합의체에서 통상임금 범위를 전보다 확대하는 판결을 내리며 반영됐다. 기존에는 제외됐던 명절 상여금과 휴가비 등이 통상임금에 적용됐다. 이번 실적 공시에는 이와 관련된 충당부채가 반영돼 일시적으로 비용이 증가했다.
유통업계는 업무 특성상 타 업종에 비해 직원 수가 많고 시간 외 근무가 많은 편이라 비용 부담이 크다. 대형마트는 업태 특성상 영업시간이 길고 휴일 영업으로 인한 초과근로 수당과 휴일 수당 비중이 높다. 이마트는 특히 경쟁사 대비 최대 2배 이상 많은 인력을 운영하고 있어 비용 증가 폭이 컸다는 설명이다.
|
2023년 사업보고서를 분석한 결과 2023년 말 기준 이마트의 근무 인원은 2만2744명으로 롯데마트(1만614명)보다 많았다. 평균 근속연수 역시 이마트는 13년, 롯데마트는 11.9년이다.
퇴직금은 근속연수와 수당에 따라 달라지는 만큼 장기근속자가 많은 회사는 통상임금 영향이 크다. 이마트 측은 연결기준으로도 직원 수가 5만8500명에 달해 비용 증가 폭이 클 수밖에 없다고 설명한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이마트는 고용인력이 많고 장기 근속자 비율이 높아 통상임금 판결에 따른 퇴직충당금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며 "통상임금 변수로 퇴직 충당부채와 희망퇴직 보상금 등이 반영된것으로 보아 향후 구조조정에 대피한 충당금이 크게 반영됐을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최근 통상임금범위를 폭넓게 해석한 판결이 있었는데 설·추석 등 명절 상여금과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의 범주로 넣으면서 퇴직금 비용이 증가한 것으로 이해된다"고 말했다.
류순건 노무법인 이인 대표노무사는 "단순히 직원 수나 근속연수가 많다는 이유만으로 통상임금 충당액이 결정되는 것은 아니다"라며 "회사마다 급여체계가 다르고 통상임금에 포함되는 임금을 제외하고 있었는지 아닌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여금·기본금 제도에 따라 기업마다 달라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