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의 출생아, 출산율이 9년 만에 증가했다./사진=경남도
경남도의 출생아, 출산율이 9년 만에 증가했다./사진=경남도

경상남도의 출생아 수와 합계출산율, 혼인 건수가 9년 만에 동반 상승하며 인구 반등의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통계청이 지난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남의 합계출산율은 0.82명으로 전년보다 0.02명 증가해 전국 평균(0.75명)을 웃돌았다. 2015년 1.44명을 기록한 이후 지속적으로 하락하던 출산율이 반등한 것은 9년 만이다.


출생아 수도 1만3076명으로 전년 대비 27명 증가하며 10년 만에 상승세를 보였다. 경남의 출생아 수는 2000년대 평균 3만명을 유지하다 2013년 3만명 이하로 감소했고 2019년 2만명 이하로 줄어든 뒤 2023년(1만3049명)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혼인 건수는 11년 만에 반등했다. 2024년 혼인 건수는 1만1429건으로 전년보다 11.7% 증가했다. 결혼 후 2~3년 내 출산이 이뤄지는 점을 고려하면 향후 출생아 수 증가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순유출은 지속되고 있지만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2024년 연간 순유출은 9069명으로 2019년 이후 가장 적었으며 올해 1월 순유출도 590명으로 지난해 같은 달(1173명)의 절반 수준에 그쳤다.


등록외국인 수는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11월 처음으로 10만명을 돌파한 이후 올해 1월 기준 10만3364명으로 전국에서 세 번째로 많다.

김기영 경남도 기획조정실장은 "인구 반등 흐름을 이어갈 수 있도록 실효성 높은 정책을 추진하겠다"며 "성과가 낮은 사업은 정리하고, 정책 현장의 의견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보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